요약
최근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기술진보는 기업의 업무(task)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고용(employment)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산업별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진보로 인한 업무 변화 및 고용 효과를 산업별로 추정하고 이러한 효과들의 비교 및 특징 차이를 분석하여 정책 설계를 위한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목차
제1장 서론제2장 선행연구
제3장 집계 데이터(aggregate data)로 살펴본 기술진보와 산업별 업무 변화
제1절 선행연구의 방법론 설명
제2절 데이터와 변수 설명
제3절 산업별 분석 결과 비교
1. 전 산업 노동수요 분해 및 업무 변화 추이
2. 산업별 노동수요 분해 및 업무 변화 추이
제4절 소결
제4장 기업 데이터(firm-level data)로 살펴본 기술진보와 산업별 고용
제1절 재무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진보와 고용
1. 재무 데이터와 변수 설명
2. 각 재무 변수들의 시계열 추이
3. 기술을 나타내는 변수들 검토
4. 재무 변수 기반 기술과 고용과의 상관성(산포도)
5. 기업 규모별 재무 변수 기초 통계 차이
6. 기업 규모별 재무 변수 기반 기술과 고용의 상관성(산포도)
7. 기술 관련 재무 변수를 활용한 고용 효과 분석
제2절 사업보고서로 살펴본 기술진보와 고용
1. 사업보고서 설명 및 기술의 측정
2. 추정된 기술의 특징
3. 기업 규모별 사업보고서 기반 기술의 기초 통계
4. 사업보고서 키워드 기반 기술과 고용의 상관성(산포도)
5. 사업보고서를 통해 추정된 기술의 고용 효과 분석
제3절 소결
제5장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분석 및 고용과의 비교
제1절 재무 데이터 기반 기술진보에 따른 업무 변화 분석
제2절 사업보고서 기반 기술진보에 따른 업무 변화 분석
제3절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요약
제4절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와 고용 효과의 비교
제5절 소결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제4장 무형자산 및 연구개발 관련 비용 세부 항목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추정 결과
〔부록 2〕 제5장 무형자산 및 연구개발 관련 비용 세부 항목의 업무에 미치는 영향 추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