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5G 서비스는 2019년 4월 3일,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었다. 이후 5G 가입 회선 수는 급격히 증가하며 2023년 12월 기준 3,250만 개에 도달했다. 이처럼 빠른 이용자 수 증가는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았는데, 그중 주요 요인은 5G 단말기를 구매할 시 5G 요금제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제도였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연맹의 조사에 따르면, 5G 사용자 중 56.1%가 최신 스마트폰이 5G 전용으로 출시되어 5G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은 통신사들의 5G 기술 도입 및 확산을 위해 필요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고 정책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5G 요금제와 단말기 결속 정책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와 통신사 모두에 유익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목차
제1장 서론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장 선행연구 분석
제3장 정책 도입 배경
제1절 국내 단말기와 요금제 결속의 역사
1. 3G와 LTE 도입 시 단말기-요금제 결속의 전개
2. 5G 도입 시 단말기-요금제 결속의 전개
제2절 국외 단말기 요금제 결속 사례
1. 미국의 결속 사례
2. 영국의 결속 사례
3. 일본의 결속 사례
4. 인도, 캐나다, 독일 및 핀란드의 결속 사례
5. 정리 및 결론
제3절 정책 도입 시 이용자 반응 분석
1. 단말기 요금제 결속 정책과 시장의 반응
2. 단말기 요금제 결속 정책의 변화와 시장의 반응
제4장 정책 효과 분석
제1절 실증 분석의 목적 및 연구 문제
제2절 조사 방법론
1. 컨조인트 설문 데이터
2. 분석 방법론
제3절 주요 조사 내용 및 결과
1. 주요 설문조사 통계
2. 수요함수 추정 결과
3. 규제 정책의 시장 영향 분석
제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