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기본연구

AI 반도체 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 연구

  • 저자정현준,김민식,오정숙
  • 다운로드수245
  • 미리보기수248
  • 게재지기본연구
  • 권호기본연구24-10
  • 페이지1-200
  • 발행일2024-12-31
  • 분류정보IT산업,IT산업/시장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인공지능 반도체 대만 생태계 정책

요약

□ AI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과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정책 방향 제안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발전 경로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 제시
◦한국의 첨단 반도체 이슈 분석
◦첨단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정부 역할 재정립 및 새로운 혁신 정책 필요성 제시
◦첨단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프로그램 수립 시 세 가지 구조 방향 제시
① 첨단 반도체 생태계 영역별 기업의 역량을 고려한 지원(팹리스, 파운드리 등)
② 첨단 반도체 활용처를 고려한 수요처별 지원(소비자 가전, 유무선 통신, 컴퓨팅, 산업, 자동차)
③ 첨단 반도체를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 계층에 따라 발생하는 기회를 지원(시스템 SW, 서버, OS 등)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AI 반도체 시장 현황과 전망
제1절 AI 반도체 정의와 분류
제2절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성장 추이 및 발전 방향
제3절 기존 반도체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AI 반도체의 등장
제4절 AI 반도체 산업에서 AI 반도체 등장에 따른 가치사슬의 변화
제5절 AI 반도체 관련 주요 글로벌 이슈 분석
1. On-device AI 활성화와 AI 반도체의 세분화
2. AI 반도체 시장참여자로 빅테크 기업의 등장
3. AI 반도체 활용의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적인 기회 영역(기술 계층)이 존재
4. AI 반도체 주요 선도 기업의 플랫폼화

제3장 AI 반도체 정책 현황
제1절 주요 선진국의 반도체 정책 현황
1. 개요
2. 미국 반도체 정책 vs 중국 반도체 정책
3. 유럽(EU) 반도체 정책
4. 일본 반도체 정책
제2절 최근 국내 반도체 정책 현항

제4장 AI 반도체 관련 대만의 생태계 및 정책 분석
제1절 대만 반도체 시장 현황
제2절 대만 반도체 생태계 현황
1. 대만 반도체 산업의 생태계 구조
2. 대만 반도체 IP(Intellectual Property, SIP) 현황
3. 대만 반도체 설계(Fabless) 현황
4. 대만 반도체 생산(IC Manufacturing: Foundry & Memory and Other Manufacturing) 현황
5.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의 디자인하우스 현황
6. 대만 반도체 패키징 & 테스트 현황
제3절 대만 반도체 산업 및 정책 분석
1. 대만 반도체 경쟁력
2. 대만 반도체 발전의 역사적 배경
3. 대만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4. 최근 대만 반도체 지원 정책
제4절 대만의 반도체 전문가 인터뷰 조사
1. 조사 개요 및 항목
2.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만 반도체 전문가
3. 생태계 영역별 대만 반도체 전문가 인터뷰 조사 결과

제5장 AI 반도체 관련 시사점 및 정책 제언
제1절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발전 경로 및 방향
1.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발전 경로
2. 한국과 대만의 첨단 반도체 발전 방향
제2절 한국의 첨단 반도체 이슈 분석
1. 국내 첨단 반도체 설계 지원 환경 필요
2. 국내 첨단 반도체 양산 및 상용화 지원 환경 필요
3. 국내 첨단 반도체 관련 BM 개발과 레퍼런스 확보 지원 환경 필요
제3절 정책적인 제언
1. 국내 첨단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정부 역할 재정립 및 새로운 혁신 정책 필요
2. 국내 첨단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프로그램 수립 필요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