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우리 사회는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한 가지 방안은 지역 고용시장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를 안정화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용 상황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정보를 선제적으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곧 고용시장에 대한 전망(forecasting)과 연결된다. 이에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지역별 ICT 고용 전망모형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ICT 산업에 초점을 맞춰 지역별 고용연구를 진행하였다.본 연구는 이전 전망모형 개발의 후속연구로 연구의 확장 및 고도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 고용 전망의 예측력 평가 및 제고, 2) ICT 제조업의 고용 부분 추정 및 전망치 결합, 3) ICT 고용지수의 확장 및 함의 발견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로 다양한 모형을 활용하여 전망을 수행한 결과 지역별 ICT 고용 전망에 있어 절대적인 우위를 나타내는 모형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전국, 지역, 산업의 특징 변수나 비정형 데이터(뉴스 데이터)에 기반한 지수를 정보로 포함한 모형들의 예측력이 일반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용전망에 있어 지역이나 산업 각각이 지니는 이질성 (heterogeneity)과 뉴스 기반 지수들의 선행정보가 ICT 고용 전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정보통신업(J) 고용만을 대상으로 한 지난 연구에 ICT 제조업(C) 고용까지 확장하여 ICT 산업 전체의 고용을 살펴보고 전망하였다. 수도권에 집중된 정보통신업 고용에 비해 ICT 제조업 고용은 상대적으로 지방에 넓게 분포되어 있어 지역별 ICT 고용에 있어 산업별 특징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전망 결과 ICT 서비스업(정보통신업)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ICT 제조업에서도 전국, 지역, 산업 관련 정보와 뉴스 기반 지수들을 활용하였을 때 예측력 제고 효과가 다수의 모형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활용하여 ICT 서비스업(정보통신업)과 ICT 제조업의 다양한 모형 전망치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지역별 ICT 산업의 단기 고용전망을 시도하였고 미래 예견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ICT 고용지수의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주간 지수로까지 확장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속보성 정보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노력하였다.
지역별 ICT 고용 전망치와 ICT 고용지수의 속보성 정보는 향후 미래에 대한 정보를 선행적으로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전망의 정보가 ICT 산업뿐만 아니라, 지역의 고용정책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서론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및 범위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제2장 고도화 방향 및 연구의 구조
제1절 고도화 방향 및 연구의 구조
제3장 선행연구
제1절 선행연구
1. 문헌연구 및 방법론 검토
2. 소결
제4장 비정형 데이터 기반 지수들의 특징 및 비교
제1절 뉴스 데이터 기반 지수들의 특징 비교
1. 지수 구축의 방법론 비교
2. 지수의 추이 및 BSI와의 상관성 비교
3. 코로나19 전후의 상관성 변화
4. 지수들의 선행정보 및 부가적 함의
5. 소결
제2절 ICT 고용지수
1. ICT 고용지수의 추이와 의미
2. ICT 고용지수의 특징과 주간 시계열로의 확장
3. ICT 고용지수의 한계
4. 소결
제5장 모형의 확장 및 전망 고도화
제1절 정보통신업(J)의 지역별 고용 특징
1. 지역별 고용 비중 및 변화
제2절 모형의 설계
1. 통계 및 계량모형
가. SHW 및 SARIMA 모형
나. VAR 모형(벡터자기회귀 모형)
다. DFM 모형(동적요인모형)
2. 딥러닝 모형
가. NNAR(신경망 자기회귀모형)
나. RNN(순환신경망 모형)
제3절 모형의 예측력 평가
1. 활용 모형 및 특징
2. 표본 내 예측 및 평가
제4절 뉴스 기반 지수를 포함한 모형의 평가
1. 뉴스 정보 포함 모형들의 예측력 제고 효과
제6장 산업 비교: 제조업과 ICT 제조업
제1절 제조업(C) 고용의 지역별 특징과 전망
1. 제조업(C)의 지역별 고용 특징
2. 모형의 설계 및 표본 내 전망 결과
제2절 ICT 제조업(C) 고용의 추정과 전망
1. ICT 제조업(C)의 지역별 고용 특징
2. 모형의 설계 및 표본 내 전망 결과
제3절 뉴스 정보를 활용한 예측력 제고 효과
1. 지역 및 모형별 예측력 제고 검토
제7장 지역별 ICT 단기 고용전망
제1절 지역별 ICT 단기 고용전망 및 비교
1. 전망치 결합과 전망 전제치 설정
2. 단기 고용전망 및 지역별 비교
제2절 고용전망의 예보 및 시각화
1. 예보의 대표치 설정
2. 예보의 시각화
3. 소결
제8장 결 론
제1절 학술 기여 및 정책 제언
1. 학술적 의의
2. 정책 제언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