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정책연구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경제성장을 위한 정책적 역할에 관한 연구

  • 저자이준배,장재영,최계영,박소연
  • 다운로드수122
  • 미리보기수87
  • 게재지정책연구
  • 권호정책연구21-25
  • 페이지1-82
  • 발행일2021-12-31
  • 분류정보중소·벤처,고용,R&D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경제성장 디지털 전환 생산성 산업정책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방향
제2장 디지털 전환의 진행 방향
제1절 디지털 경제의 정의와 디지털 전환
1. 디지털 경제의 정의
2. 디지털 경제의 규모 측정
3. 디지털 전환 정도의 측정
제2절 생산요소별 디지털 전환의 진행 양상
1. 플랫폼화의 기본 원리
2. 플랫폼화로 인한 가상공간의 진전과 메타버스 세계로의 확장
3. 가상세계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인프라
4. 경제적 자원으로서 데이터의 창출공간으로서 가상공간/플랫폼
5. 시사점
제3장 디지털 전환과 경제성장
제1절 경제성장과 생산성
1. 경제성장과 생산성의 관계 및 측정 지표
2. 경제성장과 생산성 상승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모형
3. 요약
제2절 디지털화와 경제성장
1. 이론적인 경로
2. 산업 레벨의 증거
3. 기업 레벨의 증거
4. 창업 생태계의 양적·질적 성장
제4장 디지털화를 통한 우리나라의 생산성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
제1절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양상과 특이점
1. 제조업 동력 약화에 따른 잠재성장률의 급속한 하락
2. 높은 ICT 산업 비중과 상반된 낮은 디지털 활용률
3. 기업 규모별 디지털 격차
제2절 우리나라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추진 과제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정부정책반영현황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