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정책자료

생성형 AI가 가져올 변화와 정책과제: 플랫폼 생태계

  • 저자박유리,이경은
  • 다운로드수120
  • 미리보기수113
  • 게재지정책자료
  • 권호정책자료23-03-02
  • 페이지1-94
  • 발행일2023-12-31
  • 분류정보중소·벤처,R&D,IT산업·시장
  • 게재지스마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플랫폼 연구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스마트 서비스 생성형 AI 플랫폼 기술경쟁력 생태계 일자리와 노동

요약

□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생성형 AI가 빠르게 확산되는 시점에서 플랫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방향을 모색할 필요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로 인한 플랫폼 비즈니스의 경제적 특성 변화, 플랫폼 생태계 경쟁 양상 변화 등을 검토하고, 생성형 AI 환경에서의 플랫폼 정책방향 제시

□ 연구방법
◦ 생성형 AI가 최신 기술이고, 특히 생성형 AI와 플랫폼 생태계를 통합하여 분석한 선행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관련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

□ 생성형 AI 관련 플랫폼 기업 동향
◦ 글로벌 빅테크는 막대한 자원을 바탕으로 하드웨어, 인프라에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생성형 AI 기술 스택의 모든 영역에서 비즈니스를 수행, 확장하고 있음
◦ 우리나라 기업들도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나, 생성형 AI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뿐 아니라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에 있어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
◦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접목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로 생성형 AI 부상으로 플랫폼 생태계의 경쟁 양상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는 향후 지켜볼 필요

□ 생성형 AI와 플랫폼 생태계에 대한 전문가 설문 조사
◦ 생성형 AI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성인 데이터 집중, 전환비용 등의 요소를 강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생성형 AI의 부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
- 단,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환경에서 생성형 AI와 플랫폼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중요
◦ 생성형 AI 환경에서 규제 중심의 정책 방향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의도적으로라도 진흥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
- 특히 수요 창출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활성화에 대한 지원 필요
- 또한 생성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이나 응용서비스 개발에 있어 핵심 투입 자원인 데이터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도 중요한 정책과제로 지목
- 파운데이션 모델이 생성형 AI 뿐 아니라 클라우드를 비롯해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성 제기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생성형 AI 관련 플랫폼 기업 동향
제 1 절 빅테크 및 플랫폼 기업의 생성형 AI 관련 동향
1.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
2. Open AI
3. 구글(Google)
4. 메타(Meta)
5. 아마존(Amazon)
6. 애플(Apple)
7. 네이버
8. 카카오
9. KT
10. LG
11. SKT
제 2 절 소결

제 3 장 생성형 AI와 플랫폼 생태계 전문가 설문
제 1 절 조사 개요
제 2 절 조사 결과
1. 생성형 AI가 플랫폼 비즈니스의 경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2. 시장경쟁 양상에 대한 영향
3. 파운데이션 모델
4. 생성형 AI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
5. 플랫폼 정책 방향

제 4 장 결론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