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remium Report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 저자이경선
  • 다운로드수80
  • 미리보기수70
  • 게재지KISDI Premium Report
  • 권호2025-02
  • 페이지1-34
  • 발행일2025-06-30
  • 분류정보IT산업·시장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AI 에이전트 생성형 AI AI 정책과제

요약

2025년,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 의사결정의 성격과 효율성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기술로서 AI 에이전트가 부상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AI를 사용해 사용자를 대신하여 목표를 추구하고 태스크는 완료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럴듯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존 생성형 AI 서비스에서 한발 더 나아가 능동적으로 의사결정, 학습, 조정이 가능하다. AI 기술 발전으로 정보 생성에 초점을 맞춘 ‘대답하는 AI’가 문제해결과 실행 능력을 갖춘 ‘행동하는 AI’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AI 에이전트는 그동안 폭발적인 이용자 증가에도 수익모델 창출에 고전하던 AI 공급기업들에게는 고부가가치 시장을 열어주는 한편 AI의 도입·활용에 어려움을 경험하던 수요 기업들에게는 AI의 쉬운 접근과 활용, 그리고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가오는 AI 에이전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본 고에서는 AI 에이전트의 부상 배경, 향후 시장과 경쟁양상의 변화, AI 에이전트 서비스의 확산이 수반할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산업·법제도·사회적 측면에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목차

1. 서론
2. 생성형 AI의 대중화와 산업적 한계
3.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향후 전망
4. AI 에이전트 시대 정책과제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