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고에서는 정보통신산업(ICT) 고용 지수를 소개한다. 지역 소멸과 인구 감소가 우리나라의 주요 이슈로 부상했기 때문에, ICT 고용 지수는 기본적으로 지역 노동 시장에 대한 정책 의사결정 지원을 목표로 한다. 현재 공개한 ICT 고용지수는 1차 연도 개발 결과물로, 비록 지역간 차이를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전국 단위로 산출한 뒤 향후 지역 정보를 포괄할 수 있는 형태로 개선하고자 한다. ICT 고용지수는 뉴스 기사의 텍스트를 데이터로 활용했기 때문에,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뉴스 기사를 선행 학습시킨 후 공개한 KPF-BERT를 주요 알고리즘으로 사용했다. 교차 상관계수를 기준으로, ICT 고용지수는 한국은행에서 공개하는 경제심리지수를 80% 정도의 유사도로 1~2개월 가량 선행하는 것을 확인했다.목차
1.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정책지원 모델 연구2. ICT 고용지수의 배경 및 필요성
3. ICT 고용지수를 위한 데이터 및 개발 방법론
4. BERT 모형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 및 훈련 성능
5. ICT 고용지수 산출
6. ICT 고용지수의 시사점 및 한계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