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채용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국내외 규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음- “AI 채용”은 이력서 분석, 직무 적합성 평가, 면접 등 채용 전반의 과정에 AI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
- 미국 연방정부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전임 정부의 AI 관련 정책을 철회하고 민간 중심의 AI 혁신을 장려하는 규제 완화 기조를 강화
- 한편, 미국 주정부를 중심으로 AI 채용에 대한 입법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음. 일리노이주·뉴욕시 등은 채용 특화 법률을, 콜로라도주·코네티컷주는 포괄적 AI 규제법을 통해 채용 영역을 고위험군으로 규정
- 한국은 2025년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하 “AI 기본법”)을 제정하고, AI 채용을 고영향 인공지능으로 명시
● 미국과 한국의 정책은 공통적으로 ①사전 고지 및 ②영향평가·감사 시행 의무를 강조
- 구직자에게 AI 활용 여부와 시스템 특성, 작동 방식 등을 사전에 고지하고, AI 시스템이 차별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평가 체계 마련을 강조
● AI 채용의 이점을 활용하는 동시에 잠재적 위험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의 정책적 흐름을 반영한 균형 있는 정책 대응이 요구됨
- 한국은 AI 기본법의 하위법령과 정책을 통해 이행 체계를 구체화하는 초기 단계에 있기에 국내외 AI 채용 관련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항목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음
목차
1. 개요2. 미국과 한국의 AI 채용 분야 정책 동향
3.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