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우리 사회가 지능정보사회로 급속하게 돌입하면서,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결합된 기술이 경제, 사회, 삶 모든 분야에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는 지능정보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근본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디지털 역량 등 개인의 내재된 특성이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행한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5,387명의 응답자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지능정보서비스 이용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용 경험의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지능정보서비스 이용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디지털 역량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어릴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디지털 역량 수준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역량이 높을수록 지능정보 및 서비스 이용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아가 디지털 역량과 지능정보기술 서비스 이용 의도는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효과를 매개해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의 실제 사용 경험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I 알고리즘, AR·VR 기기 등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를 채택하는 데 작동하는 요인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관련 정책당국이 개인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증진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나 관련 커리큘럼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and digital competence on the adop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By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Panel Survey o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onducted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 total of 5,387 respondent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les, younger individuals, a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demonstrated a higher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e.g., AI algorithms, AR/VR). Individual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had more experience in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In addition, males, younger individuals,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igital competence. Furthermore, individuals with higher digital competence were more likely to express an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Moreover, digital compet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s on the actual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