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기본연구(21-06) 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 발간

    • 작성자 kndoma
    • 등록일 2022-04-27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기본연구(21-06)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4.27).hwp (KISDI 보도자료)기본연구(21-06)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4.27) (KISDI 보도자료)기본연구(21-06)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4.27).pdf (KISDI 보도자료)기본연구(21-06)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4.27)
  • KISDI 기본연구(21-06) ‘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 발간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기회 형평성 제고 논의”
    ................................................................................................................................................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격차 실증분석 결과,
    사교육비 투자․지역 규모 따라 기초 역량 격차 높음
    ..................................................................................................................................................
    “학생의 계층적 특성 격차가 수학·과학 역량 격차로 이어져
    ICT 기초역량으로 수학·과학 역량 격차 해소하고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 형평성 제고 방안 필요”

    ▲메타버스 통한 초중등 수학·과학 중심의 체험형 학습환경 조성 및 교육인프라 격차 해소
    ▲AI 기반의 교육서비스 활용 및 소외계층 학생의 맞춤형 수학·과학 역량 제고 실현
    ▲소외지역 과학기술 분야 기초 인프라 구축 지원 및 교육환경 개선 등 맞춤형 교육정책 마련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권호열)은 KISDI 기본연구(21-06) ‘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학교가 폐쇄되고 원격수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과학기술(STEM,과학(Science)·기술(Technology)·공학(Engineering)·수학(Mathematics)) 분야의 교육 격차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STEM 분야는 교육 인프라에 의존한 체험활동과 탐구활동을 통한 학습 과정이 중요한데, 원격수업은 이러한 체험중심의 학습 과정을 어렵게 한다. 물론 가구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학생들은 사교육 등을 통해 이러한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어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의 부재로 원격교육에 대한 접근성 자체가 낮은 취약계층의 학생들은 학습 결손이 누적되며 학업성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공교육의 역할이 축소되고 가정의 역할이 중요해질수록 가구소득 등의 가구 배경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역량 격차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일자리, 특히 임금 수준이 높은 ICT 일자리의 핵심 역량이 수학·과학과 같은 기초 학문에 기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계층 간 차이로 인한 학생들의 수학·과학 교육 격차는 장기적으로 일자리 선택과 직무 역량 격차, 나아가 미래 디지털 사회의 소득 불평등 이슈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STEM 교육 형평성 제고를 위해 교육 기회로부터 소외되는 취약계층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보고서에는 STEM 분야의 교육 격차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교육 기회의 불균등 해소를 위한 대응 방안을 담았다. 보고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Program of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데이터를 계량 분석한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여학생이 남학생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성적이 낮고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사교육비 지출은 매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며 사교육비 투자 수준이 높을수록 영향력의 크기도 커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도시 및 비도시 각각에 대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 대체로 비도시(농촌, 작은 마을, 큰 마을)에서는 학교 특성의 차이가, 도시에서는 사교육비 등 가구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차이가 수학·과학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했다. 특히 도시에서는 다른 특성의 차이를 통제하더라도 남학생 대비 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적이 낮아 도시에서는 계층적 특성의 차이가 학생들의 성적 편차를 더욱 높이는 것을 확인했다.

    종합하면,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 성별, 지역적 차이가 학생들의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격차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며, 지역 규모에 따라 성적 격차를 유발하는 요인과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계량적으로 확인했다.

    보고서는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수학·과학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메타버스 초중등 수학·과학 중심의 체험형 학습환경 조성, ▲인공지능(AI) 기반의 교육서 서비스를 활용한 소외계층 학생들의 수학·과학 학습 역량 제고 및 교육 기회의 확대 실현, ▲수학·과학 및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대와 함께 교사 및 관련 인력의 역량 제고, ▲지역별 교육환경에 맞는 맞춤형 교육지원 정책 마련 등을 제안했다.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학생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격차 결정요인

    주요 이슈

    정책 지원방향

    가구의

    사회경제적

    배경, 지역 규모

    교육환경 및 인프라 격차 해소를 위한 투자 확대

    -메타버스를 통한 체험형 학습 환경 조성
    -AI 기반의 교육서비스 활용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대에 따른 교사 및 관련 인력의 훈련 학습 마련
    -교과과정에 대한 개편 재논의

    디지털 교육환경의 조성과 이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 및 학습 확대

    -메타버스를 통한 체험형 학습 환경 조성
    -AI 기반의 교육서비스 활용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대에 따른 교사 및 관련 인력의 훈련 학습 마련
    -교과과정에 대한 개편 논의

    가구의 사회경제적 배경, 지역 규모, 성별

    수학과학 흥미 제고를 위해 체험학습의 확대 및 실험중심의 교과과정 개편

    -메타버스를 통한 체험형 학습 환경 조성
    -교과과정에 대한 개편 논의

    학교 특성 (교사의 질적 수준 및 인식 등)

    수학과학 교사 역량 및 기초학력 부진 학생 담당 인력의 역량 개선

    -AI 기반의 교육서비스 활용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대에 따른 교사 및 관련 인력의 훈련 학습 마련

    수학과학 기초학력 부진 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노력

     

    학생들에 대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등 학업성취감 및 효능감 제고를 위한 정서적인 지원 제공

    -AI 기반의 교육서비스 활용 및 교사 역할 증대


    최지은 부연구위원은 “한국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으나 기존 과학기술 관련 교육 정책의 방향이 대체로 고급 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아직까지 STEM 분야의 교육 격차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학·과학 역량 격차를 유발하는 요인이 교육 격차와 소득 불균등의 심화로 이어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기회 형평성 제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 최지은 부연구위원(043-531-4358)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