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5-03-31
    • 첨부파일 (KISDI보도자료)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3.31.).pdf (KISDI보도자료)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3.31.) (KISDI보도자료)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3.31.).hwp (KISDI보도자료)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3.31.) 붙임1.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Gitbook 메인 화면.png 붙임1.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Gitbook 메인 화면 붙임2.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워크북 예시.png 붙임2.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워크북 예시
  • 윤리적 인공지능 개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도약, 과기정통부-KISDI 산업계 실무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공개
    - 개발자와 기획자를 위한 교육 콘텐츠 활용으로 책임감 있는 AI 개발 문화 확산에 기여


    ▲ 인공지능 생명주기별 맞춤형 윤리교육 콘텐츠, Gitbook 플랫폼 통해 공개
    ▲ 인공지능의 윤리적 설계 실현을 통한 산업계 윤리의식 확산으로 인공지능 강국의 발판 마련
    ▲ 코딩 실습과 법률 사례 분석을 통한 현장 중심 인공지능 콘텐츠 개발 완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 유상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인공지능 산업계 실무자를 위한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공개하였다. 이번 콘텐츠는『인공지능(AI) 윤리기준』(`20.12)의 주요 가치를 확산하고 개발자 및 실무자의 인공지능 윤리 역량을 강화하고자 웹 퍼블리싱 형태로 제작되어 Gitbook 플랫폼을 통해 공개되었다.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는 경력 1~3년 이내의 개발자, 기획자, 예비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산업 실무자가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생명주기(AI Life Cycle)별로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본 교육 콘텐츠는 실무자의 규제준수를 지원하고 법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차원을 넘어, 산업계의 환경적 요인 및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통해 “AI 윤리적 설계(AI Ethics by Design)”의 실현과 함께 인공지능 윤리의식을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제품 및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용자들의 행동 범위까지 포함하여 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자 기획되었다. 

      본 콘텐츠는 과기정통부와 KISDI가 국가 인공지능 윤리·신뢰성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인공지능 윤리의식 확산 정책의 장기 계획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체계적인 AI 윤리교육 생태계 구축을 위해 그간 개발한 초·중·고 인공지능 윤리교육 교재(`22년), 일반 사용자 대상 인공지능 윤리 교재(`23년)에 이어서 개발된 것이다. 

      실무자 대상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KISDI에서는 영상학습 분야, 가상인간 개발, 챗봇 서비스,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데이터 학습 분야의 기업 실무자를 포함한 총 30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대학에서 인공지능 윤리 교수 경험이 있는 교수자와의 세미나 및 간담회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겪는 도전 과제 및 필요성 등을 청취하였다.

       KISDI 연구진은 개발을 위해 김현철 교수팀(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신은경 교수팀(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개발자 김경훈 리더(LG AI연구원), 법률 자문 홍정순 미국변호사(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와 공동 개발하였다. 교육 콘텐츠의 내용은 ▲계획 및 설계,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개발 및 평가, ▲배포 및 모니터링의 단계의 인공지능 시스템 생명주기 별로 구분하였으며 학습자가 개인의 관심사와 수준에 맞춰 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윤리교육 콘텐츠는 단순한 이론 교육을 넘어 실제 개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상적인 개념을 실제 사례와 연결하고, 개발자들이 직접 실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 관련 소송 사례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풀이하여 실무자들의 이해를 도우며, 코딩을 통한 워크북 실습을 통해 개발자들이 윤리적 원칙을 구체화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 특징적이다. 

      이 외에도, 개발 과정의 각 단계에서 개발자 및 기획자들이 인공지능 산업 현장에서 겪는 딜레마를 ▲기술적 딜레마, ▲외부 환경에서 기인하는 딜레마, ▲개발 문화에서 기인하는 딜레마, ▲이해관계자와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딜레마, ▲의도하지 않은 윤리적 딜레마 등으로 정리하여 실무자들이 놓인 환경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범부문적으로 활용되면서 책임감 있는 인공지능(Responsible AI), 윤리적 인공지능(Ethical AI), 안전한 인공지능(Safe AI)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본 교육 콘텐츠는 인공지능 윤리와 관련된 해외 주요국 및 국제기구의 가이드라인, 테크기업 및 교육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윤리 교육 콘텐츠를 함께 소개하고 있어 개발자들의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교육 콘텐츠는 2025년 3월 31일에 Gitbook 플랫폼에 공개되었으며(kisdi.gitbook.io/aiethics),「인공지능 윤리소통 채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ai.kisdi.re.kr/aieth/main/main.do) 개발 목적에 부합하도록 교육 콘텐츠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알파캠퍼스 등의 웹사이트에도 제공될 계획이다.

    붙임 : 1.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Gitbook 메인 화면. 
              2.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워크북 예시.  끝.

    ※ 문의: 디지털사회전략연구실 이현경 연구위원(043-531-4109)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