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14호)
동향 : 2011년 안드로이드 태블릿 PC의 공격적인 출시 현황과 전망
개방성 바탕 ‘안드로이드 OS’ 시장점유율 확대 전망
Amazon 등 다양한 시장참여자 ‘허니콤’ 탑재 태블릿 PC 공격적 출시
화웨이·HTC 등 디바이스 개발·제조경험으로 ‘안정화·최적화’ 진행
...............................................................
‘앱 수익성 부족‧파편화’로 개발자 관심 감소 등 성장저해 요인도 존재
...............................................................
구글 “향후 모바일 기기에 동일한 버전 적용” 전략발표
기존 앱스토어 구매방식 탈피...다양한 사업모델 개발 필요
소셜 네트워크·위치기반·클라우드 등 접목...경쟁력 키워야
2011년 하반기부터 안드로이드 3.0 버전 허니콤(Honeycomb)을 탑재한 태블릿 PC가 아마존(Amazon)을 비롯한 중국‧대만의 통신장비제조업체 및 PC기업들을 통해 본격적으로 출시되거나, 출시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2011년 태블릿 PC 시장에서 안드로이드 점유율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방석호) 동향분석실 김민식 부연구위원은 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14호) 동향 : ‘2011년 안드로이드 태블릿 PC의 공격적인 출시 현황과 전망’에서 태블릿 PC용 안드로이드 OS 버전 현황과 진화 방향을 살펴보고, 2011년 하반기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출시 현황과 전망에 대해 분석했다.
우선 김 부연구위원은 태블릿 PC용 안드로이드 OS 버전 현황과 진화 방향을 종합해 살펴봤다. ▲구글은 현재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자사의 안드로이드 OS가 탑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 ▲최근 안드로이드 3.0 버전 허니콤을 공개 및 제공하면서, 안드로이드 OS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용으로 구분되어 적용되기 시작했다. ▲지난 5월에는 스마트폰용 버전과 태블릿 PC용 버전으로 나누어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하나로 합치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e-cream sandwich)로 대표되는 안드로이드 차세대 버전을 발표했다.
<주요 안드로이드 OS 적용 기기 변화 방향>
적용 기기
|
안드로이드 OS Version Update 현황
|
스마트폰
|
2.2 Froyo
(2010.5월 SDK 공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개발 도구의 집합
|
2.3 Gingerbread
(2010. 12월 SDK 공개)
|
차세대 안드로이드 버전 Ice-cream sandwich
(2011년 5월 발표)
|
태블릿 PC
|
3.0 (3.1) Honeycomb
(2011.2월 출시)
|
그리고, 최근 안드로이드 진영에는 Amazon을 비롯하여 화웨이(HUAWEI)·ZTE 등 중국의 통신장비업체와 에이서(Acer)·HTC 등 대만계 휴대폰 및 PC 기업들까지 태블릿 PC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특히, 이들 업체들은 ▲태블릿 PC의 LCD모듈·통신모듈·CPU 등 주요 하드웨어(Hard-Ware) 부품을 세계 기준에 따라 구매할 수 있으며, ▲핵심 SW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OS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업체들은 그들이 가진 ▲기존의 휴대폰 및 PC 등 관련 디바이스 개발·제조 경험(지식)과 능력을 바탕으로 태블릿 PC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Amazon의 태블릿 PC 진출은 Amazon이 애플의 iPad에 대응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진영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미 Amzon은 e-book reader 기기인 킨들(Kindle),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콘텐츠, 모바일 앱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11년 5~6월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출시 현황>
제조사
모델 명
|
Acer
ICONA TAB A500
|
HTC
Flyer 4G
|
ZTE
Light Pro 7
|
HUAWEI
Media Pad
|
화면 크기
|
10.1인치
|
7인치
|
7인치
|
7인치
|
프로세서
|
Dual-Core(Per core 1GHz)
|
Single-Core 1.5Ghz
|
Single-Core 600Mhz
|
Dual-core 1.2Ghz
|
운영체계
|
Android 3.0
|
Android 2.3
|
Android 2.2
|
Android 3.2
|
특징
|
지포스 GPU 탑재
|
4G와이브로 지원
|
텔레포니카를 통해 태블릿 시장 진출
|
1080p HD 지원
|
이미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iOS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개방성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 1위에 올라선 구글의 안드로이드 OS가, 태블릿 PC 시장에서도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의 배경에는 최근 태블릿 PC 전용으로 업그레이된 안드로이드 버전 허니콤을 탑재한 태블릿 PC가 다양한 시장참여자를 통해 공격적으로 출시되면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의 안정화와 최적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의 이면에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PC의 성장률을 저해하는 요인들도 존재한다. 우선, iPad(iOS)와의 애플리케이션 경쟁에서 현재 안드로이드 태블릿 PC(태블릿 PC 전용 안드로이드 버전)에 대한 개발자들의 관심도가 파편화 및 앱의 수익성 부족 등으로 인해 iPad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구글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해 스마트폰용과 태블릿 PC용으로 나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다시 하나로 통합해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앞으로 모바일 생태계에서 중요한 경쟁변수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사이에 애플리케이션 호환성을 강화해 기기 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규모를 늘림으로써, 주요 경쟁자인 애플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안드로이드 진영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모델들이 필요하다. 즉, 다운로드 구매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앱스토어 구매(application store purchases) 방식에서 인-앱 구매(in-app purchasing), 인-앱 광고(in-app advertising), 앱 인 앱(App-in-App), 웹-앱(Web-app) 등 다양한 방식의 개발 노력 및 이들 방식에 대한 비중 증가와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및 클라우드 등과 접목시키는 개발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문의 : 동향분석실 김민식 부연구위원(02-570-4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