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Premium Report」(12-02)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빅데이터'는 중요한 ‘자원'...미래 경쟁력 좌우
민간‧공공 데이터공유 등 활용전략 수립 시급
..........................................................
빅데이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실행전략
▲스마트 환경에 부합하는 미디어 데이터 생산 패러다임 전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유통체계 혁신
▲데이터 생태계(data ecosystem) 선순환을 위한 인프라·제도 정비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를 주제로 다룬「KISDI Premium Report」(12-02)가 29일 발간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동욱) 방송미디어연구실 정용찬 연구위원 은 「 KISDI Premium Report」(12-02)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를 통해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 환경에서 미래 경쟁력의 우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자원'인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 략 수립의 시급함을 설명했다.
‘빅데이터' 환경은 민간 기업의 경영활동뿐 아니라,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혁신을 수반하는 대변화를 의미한다. 빅데이터 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생산, 유통, 소비 전 영역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네트워크)'은 스마트 생태계에서 ‘자원(데이터)'이 생산되는 원천으로 새로운 데이터 생태계의 발전은 미디어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의 확산이 미디어와 IT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의 수립이 시급하다.
정책 기관은 빅데이터 생태계 환경의 선순환을 돕는 ‘촉매자'이자 ‘중재자'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공공과 민간 영역의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데이터의 공개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생산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고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책 집행은 물론 데이터공유와 협업을 통한 새로운 부의 창출에 기여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소통과 신뢰에 바탕을 둔 지식기반 사회로 진입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빅데이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는 ▲ 스마트 환경에 부합하는 미디어 데이터 생산 패러다임 전환 , ▲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유통체계의 혁신, ▲ 데이터 생태계(data ecosystem) 선순환 을 위한 인프라·제도의 정비를 들 수 있다.
<데이터 공유 개념도>

첫째, 스마트 환경에 부합하는 미디어 데이터 생산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인터넷 공간에 쌓이는 데이터는 정부승인통계(official statistics)로 가치가 충분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통계생산 체계의 재검토와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SNS나 블로그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통계조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기존 통계조사 데이터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방송 콘텐츠 이용이 TV수상기에서 PC, 모바일 기기로 옮겨감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시청행태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미디어 측정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 방법과 기술 개발이 진행 되어 야 한다.
둘째,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유통체계 혁신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원천은 ‘개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에 있어서는 제약이 심한 ‘정보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정부가 생산하는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고, 민간 부문에서 생산하는 데이터의 공동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데이터 공유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어디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지도' 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데이터 공유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은 소비자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기회인 동시에 프라이버시의 침해라는 개인정보 보호 이슈를 제기하므로 프라이버시의 상품화와 기본 인권 보호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개인 정보의 거래와 활용, 정보보호의 범위와 수준이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데이터 생태계(Data ecosystem)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와 제도 정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빅데이터 전략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 관점이 아닌 정부와 사회 구성원 전체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책기관은 빅데이터 생태계 환경의 선순환을 돕는 ‘촉매자'이자 ‘중재자'로 데이터 생산의 원천인 인터넷 인프라의 구축 전략을 빅데이터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공공과 민간 부문의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제도 개선, 빅데이터 기반 제품과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법제 정비, 빅데이터 관련 기술 개발과 R&D 정책 추진,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빅데이터 관련 인력 양성 정책의 수립과 추진이 필요하다.
아울러 빅데이터 환경은 데이터 자원을 보유하고 이를 활용할 능력을 가진 개인과 기업에게는 기회로 작용하지만, 이 과정에서 소외되는 정보 약자가 양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새로운 사회자본인 데이터 인프라의 이용 격차를 해소하고, 동반성장이 가능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문의 : 방송미디어연구실 정용찬 연구위원(02-570-4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