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전문가 칼럼

No Image

핵심서비스에서 보조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는 음성통화

  • 작성자오기석  부연구위원
  • 소속통신전파연구실
  • 등록일 2013.01.28

전화서비스가 주요한 통신수단으로 등장한 이후, 음성통화는 통신서비스 제공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인터넷 확산으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음성통화는 통화수단이 변경되었을 뿐 핵심서비스의 지위는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즉, 유선통화는 1990년대 후반부터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나, 이동통신서비스 등장이후 이동통화가 유선통화를 대체하고 자체적으로 성장하면서 오히려 음성통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는 이용자의 통신서비스 이용이 유선, 고정전화에서 이동성이라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동전화로 통신화 수단이 변경되었을 뿐 여전히 음성통화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이동전화를 이용한 음성통화도 감소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6년~2010년 이동발신통화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3.8%였으나, 2011년에는 전년대비 크게 감소한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아울러 2011년 3분기부터 2012년 2분기까지 분기별로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이 감소세로 전환됨에 따라 향후 이동전화 발신통화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유선통화와 더불어 이동통화도 감소세로 전환됨에 따라 음성통화가 본격적으로 감소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전화 발신통화의 감소는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유선이나 인터넷전화와 같은 다른 통화수단으로의 전환이라기보다는 이동음성통화가 데이터로 전환되는 추세라 할 수 있으며 그 요인을 다음과 같이 대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첫째, 이용자들의 통신서비스 이용행태가 음성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도입 이후 MIM(Mobile Instant Message)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s) 등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 가입자들의 대부분이 MIM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다자간 통신 가능 등의 이용 편의성 등에 따라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SNS의 이용 증가도 음성통화의 필요성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데이터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확대로 이용편의성이 크게 증대되었다는 점이다. 위치확인서비스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위치 및 관련 정보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114와 같은 음성통화의 필요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보조적 역할에 머물던 기존 단순 문자메시지 전송과 달리 MIM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그룹간 동시 채팅, 파일 전송, 친구찾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통신(communications)의 장점을 극대화함으로써 음성통화가 제공하는 통신기능을 충족할 뿐 아니라 그 한계도 넘어서고 있다.

셋째, 이동전화사업자에 의한 데이터 이용 환경의 개선이다. 데이터 전송속도 및 품질 보장을 위한 이동망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인해 데이터 이용을 위한 환경도 개선되었다. 특히, LTE망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전국망이 구축되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심의 정액형 요금제는 데이터 활용에 적합하다. 과거 종량제 위주의 데이터 이용요금은 데이터 유형별 요금 및 이용량을 확인해야 하는 부담이 존재하였으며, 다량 이용 시 과도한 요금부담이 나타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음성통화, SMS, 데이터 각각에 대해 기본제공량이 설정되는 정액형 요금제하에서는 데이터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졌다고 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데이터 이용의 제한이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동 음성통화의 최근 감소추세는 지속될 것이며 과거와 같은 증가추세가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유무선 통화 대체와 같은 유선에서 이동으로 통신수단이 대체되면서 음성통화가 유지되었던 과거와 달리 향후에는 음성에서 데이터로의 대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음성통화는 기존의 핵심 통신서비스의 역할에서는 벗어나 보조적 통신서비스로서의 역할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 확산 및 보조서비스로서의 음성 역할을 고려하여 통신시장의 진흥 및 경쟁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