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전문가 칼럼

No Image

미래 일자리 변화, 직업 재교육의 중요성 - 성별 고용구조의 관점에서

  • 작성자최지은  부연구위원
  • 소속ICT통계정보연구실
  • 등록일 2018.11.05

오래전 어딘가에서,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고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어가는 우울한 미래상을 본 기억이 난다. 당시엔 기술혁명은 긍정적 측면을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두려움의 대상이었나 보다.

물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산업의 구조가 바뀌면서 사양산업의 일자리는 사라지겠지만, 새로운 일자리 역시 창출될 것이기 때문에 기술발전으로 실업률이 무조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해서는 안 된다.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Forum, WEF)이 발표한 The Future of Jobs Revolution 2018 보고서에 따르면, 2018~20년까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98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174만 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생겨날 전망이다. 즉, 산업 전체에 대해서는 고용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눈여겨볼 점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미래 일자리 변화는 남녀의 고용상태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WEF는 일자리 변화는 여성 고용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는데, 여성 근로자 비율이 높은 제조업과 반복적이고 단순 업무 비중이 높은 일자리가 사라지는 반면, 남성 인력이 상대적으로 집중되어있는 반도체 산업 등은 ICT 융합으로 더욱 성장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이 남녀의 고용구조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현재의 산업 고용구조는 여러 가지 이유에 기인한다. 예컨대, 남녀의 전공 선택 및 직업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일 수도 있고, 특정 일자리 및 산업에서 육아 지원에 대한 부족 등으로 인해 여성들이 특정 산업의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문제는 기술발달로 직무 및 일자리가 변하면서, 산업간 고용구조의 불균등한 성 비율은 더욱 악화되어 고착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전폭적인 직업 재교육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직업 재교육 및 훈련을 통해 근로자들은 직무 및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직무 및 일자리에 대한 매칭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 이 외에도, 직업 재교육은 여성 인력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여성들은 전문 과학기술 및 ICT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단순·반복 업무에서 고급 기술을 요구하는 유망산업 및 직무로 이동하여 취업 및 재취업의 기회를 넓힐 수 있고, 기업은 전문 인력을 폭넓게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장기적으로는 특정 직무 및 일자리에 대한 불균등한 성 비율이 완화되어, 산업간 남녀 고용구조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CT 융합산업의 발달로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직무 및 역량체계 개선작업이 한창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직업재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직무 변화에도 적절하게 대응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예컨대, 소프트웨어 산업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체계지표인 ITSQF를 이용하여 근로자는 해당 산업의 직종별 요구되는 응용 기술 및 역량을 파악하고 앞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행 직업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단순 직무에 주로 포진되어있는 여성근로자가 단기적으로 low-skill에서 high-skill로 넘어가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특정 직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급 기술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반면 저숙련에서 고급 기술 훈련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단계적인 교육과정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점진적으로 low-skill 근로자들도 고급 ICT 응용기술 개발을 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인력개발 및 직업 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정부지원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를 통해 미래 일자리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 제고 외에도, 여성근로자들의 high-skill 확대 및 근본적으로는 산업간 성 비율 격차 및 고착된 성별 고용구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