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5-04-30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4.30자).pdf (KISDI 보도자료)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4.30자) (KISDI 보도자료)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4.30자).hwp (KISDI 보도자료)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4.30자)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pdf KISDI_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SDI, ‘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 발간
    -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미디어 생태계 재편이 예고 -
    - 우리나라는 규제 체계, 한류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KISDI 기본연구 (24-08) ‘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미디어 분야의 대표적인 변화를 콘텐츠의 생산, 미디어 이용, 공공정책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대규모 언어 모델과 텍스트 기반의 영상 생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및 소비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모 중이다. 이를 미디어 분야의 가치사슬 단계별로 살펴봄으로써, 필요한 정책 대응 분야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생산, 미디어 이용, 공공정책 측면에서 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측되었다.

      우선, 콘텐츠 생산의 효율성은 향상되고, 비용은 절감되면서 창의성 및 다양성이 증대될 것이다. 반면, 허위·조작정보 생산 및 유포에 활용되고, 창작자 역할이 위축되는 등의 부정적 효과도 나타난다.

     한편, 콘텐츠 생산의 진입 장벽 소멸로 콘텐츠 공급이 폭증하며, 이는 추천 알고리즘의 고도화를 앞당기고, 그 가치를 더 높이게 되며,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술과 결합되어 몰입도를 높임으로써 콘텐츠의 상호작용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인(n=2,000)과 전문가(n=30) 대상 설문조사도 실시했는데, 그 결과 일반인의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90.0%)가 전문가의 만족도(59.2%)에 비해 높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결과로는 생성형 AI가 우리 사회에 대체로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며, 본인에게도 이로울 것이라고 언급에 전문가들이 훨씬 더 동의하는 비중이 높았다는 점이다(전문가는 83.3% 동의, 일반인들은 48.5% 동의). 일반인들 사이에 신기술에 대한 막연한 공포나 거부감이 일부 존재할 수 있음이 드러난 대목이다.
     
    <생성형 AI의 개인 및 사회적 영향력 인식(일반인과 비교)>

    [Base: 일반인(n=2000), 전문가(n=30), Unit: %]


    (본 보고서 p.106)

      본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생길 미디어 분야의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포함한 우리 사회의 전사회적 대응이 필요함을 환기하고 있다. 

      특히 연구팀은 다음의 세 가지를 현 시점에서의 해당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대한민국 AI 미래에 대한 전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둘째, 생성형 AI가 미디어 분야에 미칠 영향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좀 더 서둘러야 한다. 셋째, 미디어 스스로가 생성형 AI 확산과 이에 대한 대응을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설정하고, 공론장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붙임 : 보고서 전문(pdf) 1부.  끝.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