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5-07-09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KISDI_‘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7.9자).pdf (KISDI 보도자료) KISDI_‘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7.9자) (KISDI 보도자료) KISDI_‘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7.9자).hwp (KISDI 보도자료) KISDI_‘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7.9자)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pdf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 KISDI,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 발간
    - ‘대답하는 AI’를 넘어 ‘행동하는 AI’로... -
    - ‘산업으로서의 AI 시대’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정부의 역할 필요  -


     2025년, AI 에이전트가 주목해야 할 핵심 기술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AI 에이전트 시대 효과적 대응을 위해 AI 에이전트의 부상 배경과 전망, 서비스 확산이 가져올 기회와 위협, 그리고 정책적 함의를 종합적으로 분석한「KISDI Premium Report」 ‘AI 에이전트의 부상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AI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목적을 이해하여 스스로 계획하고 결정하며 외부 도구를 활용해 태스크를 수행하는 자율형 AI 시스템으로, 정보 생성에 초점을 맞춘 기존 ‘대답하는 AI’에서 한 단계 진화한 ‘행동하는 AI’로 볼 수 있다. 챗GPT로 대표되는 ‘대답하는 AI’ 서비스가 인간과 유사한 소통 능력과 범용적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AI의 범용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면, ‘행동하는 AI’, 즉 AI 에이전트는 여기에 문제해결과 실행 능력, 그리고 ‘자율성’을 더해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실질적으로 이용자의 목적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보고서에서는 AI 에이전트의 확산이 AI 공급기업에게는 고부가가치 시장을 창출할 기회를, AI 수요기업에게는 생산성 향상과 함께 AI 도입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AI 에이전트의 확산은 AI가 본격적으로 산업으로 자리 잡는 ‘산업으로서의 AI 시대’를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 산업의 서비스 방식이 AI 에이전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AI·플랫폼·하드웨어 기업 간 상호침투와 다층적 협력·경쟁구도가 촉발됨으로써 서비스, 플랫폼, 인프라를 비롯해 다양한 IoT 및 하드웨어 등 디지털 생태계 전반에서 새로운 산업기회가 창출되고 확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실시간 상호작용, 민감 정보 처리가 중요한 산업 영역에서 AI 에이전트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경우, 기기 자체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과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의 발전도 한층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궁극적으로 산업적 기회를 넘어 사회 전반의 효율성과 편의성, 혁신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전체의 생산성 제고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러한 기회는 동시에 새로운 위협을 동반한다. 보고서는 AI 에이전트가 가져올 긍정적 변화 외에도, 소수 빅테크 플랫폼 기업에 대한 종속 심화 가능성, AI 에이전트의 법적 지위와 책임소재의 불분명성, 인간 일자리의 대체 가능성, 그리고 인간의 판단력과 자율성 약화에 따른 사회적 의존성 심화 등의 문제를 주요 위협으로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경선 연구위원은 ▲ 국내 산업생태계 활성화 및 공정경쟁 환경 조성, ▲ 관련 법제도 정비 및 국제 협력 추진, ▲ 사회적 대응체계 구축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KISDI는 AI 기술 발전의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AI 에이전트 시대에 필요한 정책과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 보고서 전문(pdf) 1부.  끝.

    ※ 문의 : 디지털플랫폼경제연구실 이경선 연구위원(043-531-4151)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서수경
  • 연락처043-531-4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