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11-05-03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5.hwp (KISDI 보도자료)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5 (KISDI 보도자료)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5.pdf (KISDI 보도자료)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5
  • 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8호)
    동향 :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

     “웹 애플리케이션 이용 활성화‧iOS 기반 iPad에 대항
    구글, 차기 오픈소스 운영체제 ‘크롬OS’ 적용할 수도”

    .............................................................

    ‘크롬OS’ 적용시 기존 태블릿PC 경쟁구도 주요변수로 작용

    ▲무료‧저가제공 가능...앱‧서비스‧이용자 경험 등에 더 많은 투자
    ▲‘로컬-웹’ 시너지 효과...안드로이드OS와의 융복합 통해 동반성장
    ▲다양한 ‘공급자-단말’ 간 연계성 높여..보급강화 유리한 측면

     

    2011년에는 안드로이드 진영이 다양한 차기 태블릿 PC를 출시해 애플의 iPad2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글로벌 ICT 시장조사 업체들의 평가 및 전망은 대체로 긍정적이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와 전망에서 크롬 OS를 적용한 태블릿 PC의 등장은 기존 태블릿 PC 경쟁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방석호) 동향분석실 김민식 부연구위원은 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8호) 동향 :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전망과 크롬 OS의 적용 가능성’에서 크롬 OS의 태블릿 PC 적용 가능성과 크롬 OS의 태블릿 PC가 시장에 미칠 영향력을 분석했다.

    우선 김 부연구위원은 애플의 iPad에 비해 부정적인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진영의 전망 원인에 대한 시장조사 기관들의 의견을 종합해 제시했다. ▲안드로이드 진영의 태블릿 PC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시장에서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자 경험보다 하드웨어 기능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이 스마트폰과는 달리 태블릿 전용 안드로이드 OS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관리정책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태블릿 시장에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의 보급이 늦춰질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시장과는 달리 태블릿 PC 시장에서 애플과 안드로이드의 경쟁은 이통사 시스템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점이다.

    현재 이와 같은 주요 시장조사 기관들의 주요 태블릿 PC 전망 분석 보고서에서는 구글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플랫폼인 크롬 OS의 태블릿 PC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분석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구글의 크롬 OS를 적용한 태블릿 PC의 등장은 기존 태블릿 PC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즉, 크롬 OS의 태블릿 PC 적용 가능성은 기존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성과전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전망으로 이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구글의 크롬 OS(Google Chrome OS)는 구글이 설계한 차기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기존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기에 설치할 수 없어, 웹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만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크롬 브라우저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기기에 장치되어 있는 유일한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크롬 OS는 주로 초기 Netbook을 대상으로 하는 가벼운 운영체제로 개발되었으며, 빠른 속도, 단순성, 보안성이 크롬 OS의 핵심 요소이자 주요한 특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안드로이드 OS와 크롬 OS의 주요 특징

    현재 구글은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안드로이드 OS를 적용해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블릿 PC용으로 수정된 안드로이드 허니콤(3.0) 버전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비해 크롬 OS는 노트북을 중심으로 적용되어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크롬 OS와 안드로이드 OS의 차별화된 단말기의 적용 방향 때문에 태블릿 PC에 크롬 OS를 적용하는 것은 단순한 아이디어에 그칠 수도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크롬 OS의 태블릿 PC의 적용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구글이 지향하는 표준 규격을 따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측면에서 크롬 OS의 태블릿 PC 적용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이와 더불어 태블릿 PC 시장에서 iOS 기반의 iPad에 대항해 구글은 안드로이드 OS 외에 크롬 OS를 태블릿 PC 시장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애플의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 모델은 안드로이드 OS를 통한 좀 더 개방적인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로 대응하되, 중장기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 모델에 대응해 웹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크롬 OS를 태블릿 PC에 적용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크롬 OS를 적용한 태블릿 PC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출시될 경우 태블릿 PC 시장에 미칠 영향을 다음의 세 가지 방향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첫째, 기존 태블릿 PC 제조사들은 크롬 OS를 무료로 제공받고, 하드웨어 기능을 일정 수준으로 고정 및 낮춤으로써 저가의 태블릿 PC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보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자 경험 등에 보다 많은 자원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크롬 OS의 사용은 표준 규격에 따른 웹 애플리케이션 및 웹 이용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용자 경험의 파편화(세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향후 안드로이드태블릿 PC와 더불어 크롬 태블릿 PC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로컬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안드로이드 OS와 웹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크롬 OS는 상호보완적으로 융복합을 통해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크롬 OS를 적용한 저가의 태블릿 PC는 가입자 기반의 요금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통사, 제조사, 구글 등 다양한 공급자와 단말과의 연계성을 상대적으로 높여서 보급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문의 : 동향분석실 김민식 부연구위원(02-570-4288)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