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오늘(9일) 공식오픈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11-05-09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오늘(9일) 공식오픈(5.hwp (KISDI 보도자료)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오늘(9일) 공식오픈(5 (KISDI 보도자료)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오늘(9일) 공식오픈(5.pdf (KISDI 보도자료)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오늘(9일) 공식오픈(5 인트로(첫화면) 이미지.jpg 인트로(첫화면) 이미지 메인화면 이미지.jpg 메인화면 이미지 KISDI QR코드.gif KISDI QR코드
  • 방송·통신·IT정책 연구자료 ‘언제·어디서나’ 볼 수 있다
    KISDI, ‘m웹’ 오늘(9일) 오픈…1만여 자료 간편 열람 지원
    .......................................................................

    주요행사 영상 ‘생생’ 제공…OK표준 준수·QR코드 보급
    트위터·페이스북 등 SNS 연동 통해 정보공유기능 강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방석호)은 ‘방송·통신·IT 정책’ 관련 전문자료를 언제·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KISDI 모바일 웹사이트(http://m.kisdi.re.kr)’를 오늘(9일) 공식 오픈했다. 스마트IT 시대의 정책고객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한편 방송·통신 융합과 IT기반의 산업발전 지원 및 이용자편리를 제고하기 위한 것.

      ‘KISDI 모바일 웹사이트’는 접속시간을 단축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사진)를 제작·보급, 이른바 ‘궁금하면 바로 확인’을 원하는 이용자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이 특징이다.

      방석호 원장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스마트IT 기기를 통해 KISDI에서 제공하는 방송·통신·IT정책 관련 전문연구자료를 시·공 제약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KISDI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명함, 안내장 등 다양한 분야에 QR코드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KISDI 모바일 웹사이트’는 기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 각종 보고서와 핵심 콘텐츠를 선별해 모바일 환경에 적합토록 재구성한 것은 물론 화면 해상도나 브라우저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표준 웹 스타일가이드에 기반해 제작됐다. 아울러 ▲메인화면 간소화 ▲터치 오류를 줄이기 위한 레이아웃 ▲화면 확대·축소 기능 ▲아이콘에 기반한 시각적 포커싱 등을 도입했다.

      나아가 지난 1985년 KISDI 설립이후 현재에 이르는 26년 동안 축적된 방송·통신·IT 및 IT기반의 융합정책·미래 연구와 관련한 1만여 건의 보고서를 모바일 화면을 통해 간편하게 열람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모든 자료는 로그인 없이 다운받을 수 있다. 

      방송·통신·IT와 관련한 정책이슈 발굴 과정을 거쳐 핵심현안을 심도 있게 분석해 유료로 제공하는 ‘Premium Report’의 경우, PC를 통한 홈페이지 전자결제 후 모바일에서 로그인하면 해당 Report를 다운받을 수 있다.

      ‘미디어 룸’에서는 ‘종합편성채널 및 보도전문채널 도입 공청회’,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심포지엄’ 등 방송통신 분야의 주요쟁점에 대해 다뤘던 200여 건의 행사 동영상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정책 및 연구성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공되던 세미나·공청회 등에 대한 ‘인터넷 생중계’를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서비스하고 있다. 현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모바일을 통해 언제·어디서나 간편하게 산·학·연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특히 기존 윈도우 계열에서만 재생되던 WMV 대신 아이폰·안드로이드폰 등 어떤 기종의 스마트폰에서도 재생 가능토록 MPEG-4로 변환해 제공하는 한편 별도 다운로드하는 방식이 아닌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스트리밍 방식을 도입했다.
     
      한편 KISDI는 6월부터 다양한 통신서비스 회사 등에서 제공하는 앱스토어나 마켓을 통해 ‘KISDI 앱’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바로가기 기능·실시간 업데이트 알림기능’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KISDI 관계자는 “단말기 기종·플랫폼·브라우저 등 다양한 이용자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모바일 OK표준’ 등 표준규격을 준수했다”며 “이를 통해 정보 접근성을 높였으며, 이용자 편리를 높이기 위해 각 게시물의 스크랩 기능과 트위터·페이스북 등 SNS 연동을 통한 공유기능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문의 : 연구조정실 정책홍보팀 김혜영 팀장(570-4421)
                                 권은경 행정원(570-4423)

    붙임 1. KISDI 모바일 웹사이트 메뉴별 특징 1부.
    별첨 1. QR코드·인트로(첫화면)·메인화면 이미지 각 1부. 끝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