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18호)
초점 : NFC 모바일결제서비스 생태계와 TSM의 역할에 대한 논의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바일결제서비스 본격화
‘구글 월릿’이어 애플․MS․KT․SKT 도입 움직임 활발
.........................................................
통신사업자·금융기관 ‘n:n 연결’ TSM 역할 중요
서비스 확산 위해 ‘도입형태·규모’ 등 적정방안 논의 필요
최근 구글(Google)은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바일결제서비스인 ‘구글 월릿(Google Wallet)’을 본격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시티 마스터(Citi Master), 스프린트(Sprint), 퍼스트데이터(FirstData) 등 관련 사업자들과 제휴, NFC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로 결제를 가능하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애플(Apple) 역시 아이폰5에 NFC 기능을 넣고 독자 결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아이폰 이용자들을 자사의 금융 체계로 유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역시 윈도우 8(Windows 8) 프리뷰 버전 시연을 통해 윈도우 8의 NFC 기능이 MS의 모바일 지갑에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내에서 KT는 아이폰4 전용 NFC케이스를 출시하고, SK텔레콤은 NFC 내장 유심(USIM)카드를 개발하여 NFC 기능이 없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NFC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등 NFC 모바일결제서비스를 둘러싼 IT 트렌드세터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동욱) 통신정책연구실 김태현 전문연구원은 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18호) ‘초점: NFC 모바일결제서비스 생태계와 TSM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서 NFC 모바일결제서비스의 원활한 정착과 시장 확대를 위한 TSM(Trusted Service Manager)의 역할과 해외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했다.
TSM은 모바일결제서비스에서 고객들이 상점에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결제한 거래 데이터를 안전하게 통신사를 거쳐 금융기관에 전송되도록 해주는 서비스 사업자 혹은 기관을 뜻한다. 표면적 역할은 안전성을 담보하는 데이터의 전송 및 처리 서비스이지만 생태계에서는 다수의 이동통신사업자와 다수의 금융기관, 다수의 이용자와 다수의 참여 사업자 사이에서 중개자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NFC 모바일결제서비스가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중추적 역할을 한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2011)(Frost & Sullivan(2011))에 따르면 TSM 서비스 시장은 2015년 연 3억 3천만 유로에 달하며, 2010년에서 2015년간 약 74%의 연평균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TSM이 초기에는 기술적인 면에 집중해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시장이 성숙될수록 NFC 서비스 이해관계자들에게 교량적 기능을 제공하면서 비즈니스 형성에 주력하게 될 것으로 보았다.
해외 대표적 사례인 펠리카(FeliCa), 구글 월릿, 아이시스(Isis) 등을 살펴볼 때 FeliCa서비스는 개발된 기술을 TSM인 펠리카 네트웍스(FeliCa Networks)를 통해 개방․공유함으로써 그 확산을 가져올 수 있었고, 최근 Google이나 아이시스도 플랫폼을 개방할 것을 공표하면서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발전 방향을 잡고 있다.
이러한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와 금융기관을 연결하면서 응용서비스 사업자들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를 조기에 확산시킬 수 있게 만들어주는 TSM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위험분산 측면에서도 수요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이 불확실한 면이 있을 때, 제3의 사업자 TSM의 활용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업자들, 금융기관들, 결제기술제공 사업자들 모두 NFC 모바일결제서비스에 있어 TSM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그 중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NFC의 잠재적 이용 가치는 단순한 신용카드 대체재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양방향 P2P(Peer to Peer) 기술을 활용해 결제를 넘어서 마케팅, 정보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칩(Chip)에서 구현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이용편의성 측면에서, 금융기관은 이용자기반 확대 측면에서 편익을 누릴 수 있다. TSM의 서비스는 이러한 응용서비스 제공의 기반이 되는 동시에 시장 확산의 기초가 될 것이다. 향후 NFC 모바일결제서비스에 대한 논의의 기초로 TSM의 적정한 도입형태 및 방안, 규모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문의 : 통신정책연구실 김태현 전문연구원(02-570-4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