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방송통신정책」(제23권 20호)
초점 : ‘구글의 전략 방향 분석과 시사점’
안드로이드 마켓셰어 50% 근접...생태계 출범시기와 방향성 달라
모토로라 통해 ‘저가형 스마트TV 셋톱박스·태블릿’ 생산·유통 가능성 높아
...............................................................
플랫폼 영향력, 홈네트워크·자동차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확산
국내 ‘자체 운영체제 기반’ 콘텐츠 유통시장 육성 시급
구글의 안드로이드 OS가 글로벌 정보통신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가운데 구글전략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동욱) 동향분석실 공영일 부연구위원은「방송통신정책」(제23권 20호) ‘초점: 구글의 전략 방향 분석과 시사점’에서 최근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구글 맵스의 유료화 정책 실행 등 구글의 기존 전략 기조를 벗어나는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국내 업계에 향후 구글 전략 변화 가능성에 대한 점검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드로이드 생태계가 출범하던 시기의 구글 전략과 안드로이드 시장점유율이 50%에 근접한 현재의 구글 전략은 그 의미와 방향성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난 8월 발표된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도 특허 확보 차원 외에 구글의 시장에서의 위치 변화에 따른 구글 전략의 변화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안드로이드폰의 시장점유율이 10% 정도에 머무르는 상황이었다면, 구글이 모토로라의 요청이 있었다 하더라도 안드로이드 진영의 이탈 위험을 감당하면서 회사 전체 매입을 결정할 수 있었겠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모바일 시장에서 구글의 변화된 상황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설명되기 어려운 조치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구글이 모토로라 쓰임새와 관련하여 단기적으로는 스마트폰 보다 스마트TV와 태블릿 부문에서 저가형 기기의 생산과 유통에 모토로라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공영일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구글=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를 통해 수익을 내는 회사’라는 통념과는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구글 서비스의 유료 사업 확대는 수익 다변화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시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글은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구글 앱스(Google Apps), 구글 맵스(Google Maps), 구글 어스(Google Earth), 구글 서치 어플라이언스(Google Search Appliance)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유료화 정책을 확대해왔다. 아울러, 최근 구글 맵스의 유료화 정책 도입으로 업계에 충격을 준 바 있다. 모바일부문의 경우, 구글 맵스 유료화 정책의 예외로 두고 있지만 향후 유료화 정책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바다 OS 등 자체 운영체제와 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유통시장의 육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OS와 콘텐츠 유통시장 등 플랫폼의 영향력이 스마트폰, 태블릿을 거쳐 스마트TV로 확산되고 있으며, 홈네트워크 기기와 자동차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플랫폼의 각종 전자기기로의 확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되지만 그 영향은 매우 심대(深大)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체 플랫폼 육성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문의 : 동향분석실 공영일 부연구위원(02-570-4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