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11월 18일 상공회의소 개최-A New Frontier of ICT ecosystem : Cloud Computing & Smart Device 주제로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11-11-18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KISDI 글로벌 컨퍼런스2011' 11월18일(금) 개최(11.hwp (KISDI 보도자료) 'KISDI 글로벌 컨퍼런스2011' 11월18일(금) 개최(11 (별첨1) 발표내용 요약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hwp (별첨1) 발표내용 요약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별첨2) 기조연설자 및 발표자 프로필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hwp (별첨2) 기조연설자 및 발표자 프로필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KISDI 보도자료) 'KISDI 글로벌 컨퍼런스2011' 11월18일(금) 개최(11.pdf (KISDI 보도자료) 'KISDI 글로벌 컨퍼런스2011' 11월18일(금) 개최(11 (별첨1) 발표내용 요약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pdf (별첨1) 발표내용 요약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별첨2) 기조연설자 및 발표자 프로필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pdf (별첨2) 기조연설자 및 발표자 프로필_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11월 18일 상공회의소 개최

    ‘A New Frontier of ICT ecosystem : Cloud Computing & Smart Device’ 주제로

    ...............................................................

    마틴 프란스만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위해 ICT 생태계 혁신 중요”

    존 카브랄 “미디어 업계 신기술 플랫폼 확장‧조정‧통합문제 직면”

    ...............................................................

    스마트 클라우드 시장 급성장...국가차원 혁신전략 모색해야

    ...............................................................

    ○ 일시 : 2011년 11월 18일(금), 9:00∼18:00

    ○ 장소 :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Grand Hall)

    ○ 주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후원 : 방송통신위원회, 중앙일보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동욱)은 18일(금) 오전 9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Grand Hall)에서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 A New Frontier of ICT ecosystem: Cloud Computing & Smart Device(SmartPhone & SmartTV)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스마트폰 사용자 2000만 명 시대를 맞이한 스마트 환경의 보편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 ICT 생태계의 패러다임변화를 파악하고, 새로운 영역에 대한 미래를 전망하여 발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동욱 KISDI 원장은 컨퍼런스 개최와 관련 “스마트기기의 보급‧확산으로 ‘24시간 손안의 미디어’가 구현되고, 개인과 개인 간의 소통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가 부각되는 등 ‘스마트 미디어 빅뱅 시대’로의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며 “초고속인터넷, 이동통신 인프라, 휴대기기 등 ICT 첨단 분야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했듯이 스마트 ICT 생태계에서도 우리나라 ICT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ICT강국으로서의 정상을 지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기조연설 및 주제발표 내용이다.

     

    단기적 금융시장 안정화방안 제시

    ICT 생태계 ‘경제성장의 가장 큰 동력·혁신 발상지’

    첫 번째 기조연설자 마틴 프란스만(Martin Fransman)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경제학교수는 ‘현 경제위기 속 ICT 생태계의 중요성(The Importance of the ICT Ecosystem in the Current Economic Crisis)'이라는 주제로 현재 가장 큰 관심사는 단기적 금융시장 안정화방안이며, 정부·금융기관·개인의 부채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신경제성장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 해결책으로 ‘성장은 소비, 투자, 그리고 생산성의 증대에 있으며 이를 견인할 열쇠는 혁신’이라며 ICT 생태계가 경제 성장의 가장 큰 동력이자 혁신의 발상지이며 경제성장의 불씨를 지필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했다.

     

    스마트 클라우드화 급진전...네트워크 트래픽폭증 해결 최우선 과제

    국가차원 네트워크정책 재검토...단일 글로벌시장 생존전략 모색해야

    두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장석권 한양대학교 교수(정보통신정책학회장)는 스마트 모바일·스마트 상거래·스마트 정부 등 각종 스마트 서비스의 등장과 보급으로 ‘스마트 클라우드화’의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클라우드가 풀어야 할 최우선 과제로 네트워크 트래픽 폭증 문제 해결이라고 지적했다. 2015년에 필요한 네트워크 용량(2010년을 기준으로 케이블 인터넷은 85배, 통신사의 유선인터넷은 73배, 무선인터넷은 85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한 용량확장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이러한 노력이 실행될 경우 ▲첫째, 2010년 대비 연간 약 22.7조원의 잠재시장이 일부 실현될 것이고 ▲둘째, 유선시장과 무선시장은 완전한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시장으로 통합될 것이며 ▲셋째, N-스크린 컨버전스가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큰 변화는 이 스마트 클라우드 시장이 단일 글로벌시장을 형성하면서, 경쟁력이 없는 국가별 사업자는 소멸하고 경쟁력이 있는 소수의 글로벌 사업자만이 살아남는 시장구조혁신이 진행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국가차원에서 네트워크 정책과 산업 성장전략을 전면 재검토하고 글로벌 시장경쟁을 위한 적극적이고 과감한 생존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스마트 시대 환경변화 대응 ‘방송통신 정책방향’ 제시

    ▲글로벌 ICT 허브 Korea 실현 ▲스마트 생태계 조성 및 신산업 창출 ▲디지털 선진방송 구현 ▲방송통신 이용자 복지 및 정보보호 강화

    세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최재유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융합정책실장은 ‘스마트 시대의 방송통신 정책방향(Communications Policy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Ecosystem)'을 주제로 스마트 시대의 주요 특징을 ▲모바일 트래픽의 급증, ▲개방형․수평적 산업구조로 중소·벤처기업에게 기회제공,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유통 확대에 따른 콘텐츠의 중요성 증대, ▲새로운 역기능과 정보소외의 문제 대두 등으로 꼽았다. 아울러, 스마트 시대의 환경변화에 대응한 방송통신 정책방향으로 ▲첫째, 기가인터넷 상용화, 모바일 광개토플랜 추진 및 새로운 인터넷 이용원칙 정립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글로벌 ICT 허브 Korea 실현’과 ▲둘째, 클라우드, 사물지능통신 등 7대 스마트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방송통신 전략서비스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스마트생태계 조성 및 신산업 창출’, ▲셋째, 콘텐츠산업의 경쟁력 제고, 광고시장 규모 확대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디지털 선진방송 구현’, ▲넷째 인터텟 문화선진국 구현 및 사이버 세상 보안기반 강화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방송통신 이용자 복지 및 정보보호 강화’ 등 4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스마트폰 통한 창발...‘스마트 컨버전스 시대’ 개화 촉진

    지나친 소통...‘생산성·창조적 사고 능력 저하’ 등 부작용 대비해야

    세션I ‘스마트 Device의 비전과 전략(The Vision and Strategy of Smart Device)의 첫 번 째 발표자로 나선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 정보통신연구1실장은 ‘스마트폰의 확산(Explosive Growth of Smartphones–More is Different)'을 주제로 스마트폰 시대의 핵심 트렌드를 실시간성, 개인화,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위치기반으로 정의하고,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실시간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 니즈(Needs)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창발(Emergence)은 사용자들을 수동적 소비자에서 소비․문화․정치․사회 등 거의 모든 분야의 적극적 소통자로 변모시키고, 스마트폰과 타산업의 융합을 통해 진정한 스마트 컨버전스 시대의 개화가 촉진되어 산업 영역에서는 상상 그 이상의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스마트폰 확산이 가져오는 지나친 소통에 많은 시간할당 및 집중력분산에 따른 생산성과 창조적 사고 능력의 저하 등 스마트 라이프(life) 확산에 따라 발생하는 부작용에 대해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존 카브랄(John Cabral) MTVN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전무는 ‘스마트TV 도입에 따른 미디어 업계의 변화(The changing landscape of the media industry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TV)’을 주제로 인터넷 접속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미디어 업계는 새로운 콘텐츠를 어떻게 신기술 플랫폼으로 확장, 조정, 통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미디어 동기화와 콘텐츠 식별 기술을 중심으로 전통 방송체계의 도전과제와 차세대 소셜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서영재 LG전자 상무(스마트TV팀장)는 ‘LG SmartTV 전략 소개(Introduction to LG SmartTV Strategy)’를 주제로 스마트 TV시연을 통해 LG전자 스마트TV의 현재 서비스 상황 및 향후 나아가야 할 LG 스마트TV 전략에 대해 소개하고, 현재 LG 스마트TV가 구축하고 있는 생태계를 서비스플랫폼, 개발자 지원, 애플리케이션 차원에서 살펴보면서 스마트TV 생태계를 어떻게 활성화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제시했다.

     

    2014년말 40% 이상의 새로운 IT비용 지출...클라우드 기반 예상

    경제성·민첩성·혁신’에 의한 정보기술의 변화모습 소개

    세션Ⅱ ‘클라우드컴퓨팅: ICT 생태계 변화의 지렛대(Cloud computing: lever for ICT ecosystem transformation)의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조셉 지스킨(Joseph Ziskin) IBM 전사전략담당 부사장은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유형과 산업 모델(Cloud Computing Adoption Patterns and Industry Models)'을 주제로 클라우드로 인해 산업 생태계의 혁명이 일어나고 있으며, 기업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기회를 갖게 되었다며, 가트너의 보고서를 인용, 2014년 말까지 40% 이상의 새로운 IT비용 지출이 클라우드 기반일 것으로 예상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망성은 인프라스트럭쳐의 표준화, 가상화된 자원 그리고 자동화된 프로세스의 근본 요소들과 측정 가능한 비즈니스 결과로 실현된다고 밝혔다. 또한, 클라우드는 고객에게 가치창출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업방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클라우드를 통한 기업 내부의 운영, 고객과의 관계 및 산업 가치사슬에 있어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데이비드 찬드라(David Chandra) MS APAC 공공부문 클라우드컴퓨팅 총괄 전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과제, 이점 및 도입 전략(Cloud Computing Challenges, Benefits and Approach to Adoption)’을 주제로 정부와 정부의 기관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한 과제와 함께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크게 양분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제공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점을 제시했다. 경제성, 민첩성 그리고 혁신이라는 3가지 바탕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한 변화하고 있는 정보기술의 모습을 파악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 타입에 따른 다양성과 여러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적용성을 살펴본 후, 비용적인 측면에서 또 운영적인 측면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제공해주는 이익을 상세히 제시했다.

     

    문의 : 연구조정실 기획예산팀 송병기 팀장(570-4030)
    양원호 연구원(570-4015)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서수경
  • 연락처043-531-4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