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Premium Report」(11-12) 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11-11-30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11.hwp (KISDI 보도자료)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11 (KISDI 보도자료)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11.pdf (KISDI 보도자료)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11
  • KISDI「Premium Report」(11-12)

    ‘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 발간

     

    KISDI, LTE 서비스 ‘요금제 관점’서 주요이슈 분석

    ...........................................................

    ‘대용량 콘텐츠 활성화·이용자 편익’ 등 고려한 요금수준 설정 필요

    전송속도 등 고려한 ‘요금 세분화’ 통해 서비스 가치 높여야

    ...........................................................

    LTE 음성서비스 제공 시 요금구조 재편 불가피

    ‘All-IP 환경의 요금체계’ 마련 계기 삼아야

    ...........................................................

    향후 음성서비스 제공 시 주요이슈

    ▲기존 망으로의 음성 착신 접속료 산정

    ▲수신자부담원칙(RPP)적인 요소의 통합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와의 경쟁구도

    ▲음성/데이터 간 요금 재조정(rebalancing)

     

    ‘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를 주제로 다룬「KISDI Premium Report」(11-12)가 30일 발간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동욱) 통신정책연구실 김득원 부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Premium Report」(11-12) ‘LTE 도입 현황과 주요 이슈’에서 올 해 하반기 도입되기 시작한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이슈들을 요금구조의 관점에서 정리했다.

    스마트폰 도입에 따른 모바일 생태계의 활성화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을 불러 왔으며, 이는 사업자들의 차세대망에 대한 투자와 도입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국내 사업자들은 4세대 이동통신의 세계적인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개시했으나, 현재는 데이터 서비스에 국한하고 있으며 음성은 기존의 2G/3G망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LTE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스칸디나비아 국가와 독일 등에서 LTE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유선 초고속 인터넷을 대체하는 성격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 밖의 유럽 국가들에서는 주파수 분배 미해결 문제와 시장상황을 주시하는 사업자의 전략으로 인해 LTE 도입이 지연되고 있다. 하지만 2012년부터는 더욱 많은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개시할 것으로 전망되며, 빠른 증가세가 예측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LTE 서비스의 도입과 함께 기존의 요금제와 유사한 구조의 요금제가 출시되었다. 하지만 데이터 제공용량에 따른 요금 차별화뿐만 아니라, 전송속도 및 콘텐츠에 따른 요금제 세분화를 통해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LTE 스마트폰 요금제에는 무제한 데이터가 배제되어 소비자들의 가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금구조는 빠른 속도에 적합한 대용량 콘텐츠의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향후 LTE망에서의 음성서비스가 제공되면 ▲기존 망으로의 음성 착신 접속료 산정, ▲수신자부담원칙(RPP)적인 요소의 통합,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와의 경쟁구도, ▲음성/데이터 간 요금 재조정(rebalancing) 등이 주요 이슈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이슈들을 해결해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All-IP 환경에서의 요금체계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의 : 통신정책연구실 김득원 부연구위원(570-4220)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서수경
  • 연락처043-531-4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