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SDI,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 발간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5-04-21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 발간(4.21자).hwp
(KISDI 보도자료)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 발간(4.21자).pdf
KISDI_기본연구24-05_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pdf
KISDI,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 발간
- 기술진보의 노동시장 효과가 기술의 특징, 산업 및 기업 규모, 그리고 시기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KISDI 기본연구(24-05)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진보로 인한 업무 변화 및 고용 효과를 산업별로 분석하고 함의를 도출하였다.
최근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기술진보는 기업의 업무(task)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고용(employment)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산업별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술진보가 산업 및 기업 규모별로 업무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집계 데이터(aggregate data)로 살펴본 기술진보의 효과는 산업의 특징에 따라 업무 변화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경제에 큰 충격이 있었던 시기에 산업들의 업무 변화는 창출이나 소멸 효과 중 한쪽으로 치우치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에서 무형자산 및 연구개발(R&D)비와 같은 재무 정보(financial information) 기반 기술진보는 다수의 개별 산업에서 고용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사업 내용(text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추정된 기술은 이질적인 특징(연구개발 및 특허, 로봇 및 자동화, 인공지능)에 따라 고용 효과의 차이를 나타냈고, 산업 및 기업 규모별 효과의 방향과 정도도 다른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업무 변화에 대한 기술진보의 효과 역시 기술의 특징, 산업 구분,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관측되었다. 다만 앞선 결과들을 종합하여 비교했을 때, 기술진보의 특징에 따라 그 효과가 업무와 고용에 늘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사실(업무-고용 방향의 불일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고서는 기술진보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주요 논의로 ▲기술의 이질적인 특징을 고려한 정책 설계, ▲산업 및 기업 규모별 고용정책 방향 세분화, ▲시기 및 경제 상황에 따른 기술 효과의 차이 고려 등을 제시했다.
서영선 부연구위원은 “본 연구는 기술의 특징에 따라 고용과 업무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 및 기업 규모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며 “기술진보의 효과에 대한 다면적인 분석 결과를 통해 산업 및 기업 정책 수립에 있어 본 연구가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붙임 : 1. 전문(pdf)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