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인기 검색어
#
인공지능
#
플랫폼
#
이동통신
검색범위
KISDI 발간물
영상보고서
지식네트워크
KISDI 정보센터
KISDI 소개
직원 검색
검색기간
전체
1주
1개월
기간 설정
~
검색항목
제목
내용
저자
정렬순서
정확도
최신순
검색
초기화
통합검색 닫기
주요메뉴
KISDI STAT
도서관
뉴스레터 신청
ENG
KISDI 발간물
KISDI 발간물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정책연구
정책자료
현안연구
정기간행물
AI TREND WATCH
KISDI AI Outlook
KISDI Perspectives
KISDI OTT Report
KISDI Premium Report
KISDI STAT Report
역대발간물
영상보고서
KISDI 학술지
디지털경제사회연구
AJIC 2022년 이전
지식네트워크
지식네트워크
전문가 칼럼
연구과제제안
정책포털
KISDI 정보센터
KISDI 정보센터
보도자료
공지사항
미디어룸
채용안내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정보공개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 제공 제도안내
개방데이터
공공데이터 제공신청
사업실명제
시설 개방
KISDI 소개
KISDI 소개
리더십
인사말
원장약력
원장동정
KISDI Brain
조직도
경영정보
비전
설립목적ㆍ연혁ㆍ역대원장
사업계획
사업성과
예산ㆍ결산
해외연수출장보고
윤리경영
홍보센터
브로슈어
30년 사사
CI소개
오시는 길
KISDI Statistics
도서관
뉴스레터 신청
ENG
통합검색
전체메뉴 레이어 열기
KISDI 발간물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정책연구
정책자료
현안연구
정기간행물
AI TREND WATCH
KISDI AI Outlook
KISDI Perspectives
KISDI OTT Report
KISDI Premium Report
KISDI STAT Report
역대발간물
영상보고서
KISDI 학술지
디지털경제사회연구
AJIC 2022년 이전
지식네트워크
전문가 칼럼
연구과제제안
정책포털
KISDI 정보센터
보도자료
공지사항
미디어룸
채용안내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정보공개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 제공 제도안내
개방데이터
공공데이터 제공신청
사업실명제
시설 개방
KISDI 소개
리더십
인사말
원장약력
원장동정
KISDI Brain
조직도
경영정보
비전
설립목적ㆍ연혁ㆍ역대원장
사업계획
사업성과
예산ㆍ결산
해외연수출장보고
윤리경영
홍보센터
브로슈어
30년 사사
CI소개
오시는 길
검색
검색
메뉴
좌측메뉴
메인페이지 바로가기
KISDI 정보센터
KISDI 발간물
지식네트워크
KISDI 정보센터
정보공개
KISDI 소개
보도자료
보도자료
공지사항
미디어룸
채용안내
보도자료
KISDI, ‘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 단말기와 요금제의 결속을 중심으로’ 보고서 발간
작성자
kisdi
등록일
2025-04-23
첨부파일
KISDI_기본연구24-06_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_ 단말기와 요금제의 결속을 중심으로.pdf
(KISDI 보도자료) KISDI_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간(4.23자).pdf
(KISDI 보도자료) KISDI_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간(4.23자).hwp
KISDI, ‘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 단말기와 요금제의 결속을 중심으로’ 보고서 발간
- 5G 요금제 결속 정책, 초기 확산엔 효과…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선택권 보장이 더 중요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KISDI 기본연구(24-06) ‘5G 요금제 특성이 이용자 편익에 미치는 영향: 단말기와 요금제의 결속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5G 단말기와 요금제 간 결속 정책이 소비자의 선택과 편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 향후 차세대 통신기술 도입 시 참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5G는 2019년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상용화된 이후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소비자 불만과 선택 제한 논란이 지속됐다. 특히, 5G 단말기 이용 시 5G 요금제 가입이 사실상 의무화되며 소비자 선택권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5G 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요 유형별 분포>
보고서에서 시행한 시뮬레이션 분석에 따르면, 5G 결속 정책은 초기 품질이 불안정한 환경에서는 신기술 확산 속도를 점유율 9.05%에서 13.78%로 약 51.8% 높이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반면, 커버리지가 확보된 환경에서는 결속 정책 없이도 신기술 점유율이 유사한 수준(12.72%)으로 커버리지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속 정책이 시행되었을 때의 점유율인 13.78%와 비슷하게 나타나, 커버리지가 확보될 시 자발적 선택만으로도 기술 확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보고서는 향후 신기술 도입 시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면서도 품질을 확보하는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 강제 결속보다 초기 인프라 품질 확보에 투자, ▲ 가격 민감성을 고려한 합리적 요금제 설계, ▲ 소비자 선호 이질성에 대응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을 제시했다.
박진환 부연구위원은 “본 연구는 5G 기술 도입 초기에 시행된 결속 정책이 실제 소비자 편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했다”며 “향후 차세대 통신기술이 도입될 때, 강제 정책보다는 소비자 중심의 유연한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붙임 : 1.
전문(pdf) 1부. 끝.
이전글
KISDI, ‘기술진보에 따른 산업별 업무 변화 연구’ 보고서 발간
다음글
KISDI, ‘방송 프로그램 장르 구분의 타당성 검토’ 보고서 발간
목록
부서
대외협력팀
담당자
한유경
연락처
043-531-4383
비밀번호 확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