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SDI,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자산토큰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보고서 발간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5-05-12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 KISDI_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 자산 토큰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보고서 발간(5.12자).pdf
(KISDI 보도자료) KISDI_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 자산 토큰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보고서 발간(5.12자).hwp
KISDI_기본연구24-09_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자산토큰(Real World Asset)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pdf
KISDI,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자산토큰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보고서 발간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이상규)은 KISDI 기본연구(24-09)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물자산토큰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실물자산토큰(Real World Asset, RWA)의 성장과 더불어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이 RWA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다양한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거래하는 RWA는 자산 유동화와 포트폴리오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발행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기회를 제공하며, 가격발견과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보고서는 사모 대출, 미국 국채, 원자재, 부동산 등의 RWA 주요 카테고리별 시장 현황을 정리하고, 대표적인 프로젝트의 구조와 운영 매커니즘을 분석했다. 또한 탈중앙화 금융 알고리즘, 특히 시장 조성자(Automated Market Makers, AMM)와 대출 프로토콜(Lending Protocol)의 구조 및 가격 책정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알고리즘의 기능과 한계를 논의했다.
실제 블록체인에 기록된 탈중앙화 금융 거래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신 연구들과 종합한 결과, AMM 및 대출 알고리즘은 전통 금융시장의 유동성 및 효율성 문제를 일정 부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를 실물자산 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중앙화된 검증기관의 보완적 역할, 규제 기반의 정비, 자산 발행자와 투자자 간 정보 비대칭 해소 등의 전제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레몬마켓 방지를 위한 공시제도 및 평가체계 구축, ▲유동성 확보를 위한 알고리즘 기반 시장조성자 활용 가능성 탐색, ▲자산에 적합한 소유권 제도의 설계, ▲RWA에 대한 법·제도 정비 및 소비자 보호 장치 마련 필요성 등이 있다.
김찬 부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탈중앙화 금융이 실제 실물자산 시장에서도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이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망한 첫 시도 중 하나”라며 “향후 정책 논의와 규제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 1. 전문(pdf)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