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erspectives

[동향] 2023 생성형 AI 주요 이슈와 의미

  • 저자임영신
  • 다운로드수1733
  • 미리보기수2671
  • 게재지KISDI Perspectives
  • 권호2023 August No.3
  • 페이지1-13
  • 발행일2023-08-31
  • 분류정보IT산업·시장,미래사회·문화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생성형 인공지능 생성형 AI Generative AI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

요약

● Chat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의 주요 이슈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음
① ChatGPT 출시(´22.11.30)와 생성형 AI의 부상
– 코딩, 요약, 콘텐츠 생성 등 강력한 텍스트 생성 성능을 보이며 유례없는 이용자 수를 기록, 생성형 AI의 대중화 가능성을 보여줌
② LLaMA 출시(´23.02.24)와 LLaMA Moment, 오픈 소스로 촉발된 모델 경량화와 시장변화
- Meta의 대형언어모델인 LLaMA의 소스가 대중적으로 오픈되면서 대형언어모델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시장에 영향을 미침
③ GPT-4 출시(´23.03.14), 멀티모달(multi-modal) 시대에 대한 기대
- 텍스트 생성을 넘어 이미지 입력·처리·추론이 가능한 대형언어 모델이 출시되면서 멀티 모달 AI의 활용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음
④ 구글의 생성형 AI 접목(´23.03.14) 및 MS의 Copilot 출시(´23.03.16), AI를 통한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 기대
-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자사 업무 생산성 도구에 접목하면서, AI 기술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 및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업무 방식과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⑤ ChatGPT-Plugin 출시(´23.03.23), 챗봇에서 플랫폼으로의 진화
- ChatGPT-Plugin를 통한 외부 서비스와 연결로, 최신 정보 접근과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ChatGPT 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ChatGPT 중심의 서비스 통합 가능성을 보여주게 됨
⑥ 자율 AI 에이전트(Autonomous Agent)의 등장과 인공 일반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으로의 기대
- 자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자율 AI 에이전트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주목받으며, 미래로만 여겨지던 인공 일반지능(AGI)의 시대의 도래를 시사함

목차

01. 개요
02. 2023년 생성형 AI 주요 이슈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저자의 다른 논문

해당 저자의 보고서 중 최근 5건이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