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 범위가 전산업으로 확장됨에 따라 인공지능 반도체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 역량을 갖춘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범용기술로 부각※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대한민국 정부는 AI 반도체를 ’6대 디지털 혁신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고, R&D 자원의 집중 투자를 천명(2022.9)
▶ 인공지능 반도체의 2022년 글로벌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27.8% 증가한 444억 달러로 예상되며, 연평균 19.9%씩 증가하여 2026년에는 86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기술발전의 포화에 따라 가격 경쟁 단계로 접어들어 시장규모가 축소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시스템반도체는 방대한 데이터의 활용이 기존 PC 등에서 자동차, 모바일, 생활가전, 산업가전 등 전 범위의 전자제품으로 확장되면서 수요처 다변화와 동시에 시장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 시스템반도체 중 인공지능 반도체의 비중 또한 2020년 8.5%에서 2025년에는 19.5%로 확대 전망(Gartner, 2021.6)
▶ 주요국이 자국 위주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과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글로벌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기업의 성공 요인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인공지능 반도체 전문 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함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기업 협력 지원)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과 컴파일러, 드라이버, 라이브러리 등의 기술을 갖춘 소프트웨어 기업 간의 협업을 지원할 필요
※ NVIDIA GPU를 위한 라이브러리의 출현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은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 시에 NVIDIA GPU를 딥러닝 가속기 하드웨어로 타겟팅하여 개발에 착수하였고, 이렇게 개발된 소프트웨어 스택은 NVIDIA GPU의 인공지능 반도체 내의 시장점유를 증가시킴
- (소프트웨어 스택 산학연 지원) 소프트웨어 스택 부문 국내 경쟁력이 미국 등의 선도국 대비 낮으므로 해당 분야의 기술력 증진을 위한 산학연 지원체계를 구축
- (대형 인공지능 모델을 위한 반도체 R&D 지원) 추후 대형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성이 높아질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AI 반도체의 확장성 확보를 위한 R&D를 지원하여 대형 인공지능 모델의 수요에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