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분산원장기술(DLT)기반 프로그램가능 플랫폼에 자산이 토큰화되면서 금융거래를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는 혁신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미래의 금융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 DLT 기반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을 안정적으로 거래하기 위해서는 거래를 종결하는 현금 결제자산이 필요하다.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 예금이 결제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통화의 단일성, 결제의 완결성을 안정적으로 보장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각국의 중앙은행은 무위험 안전 자산인 기관용CBDC(wCBDC)를 디지털 자산 거래의 결제 자산으로 주목하고 있다. BIS는 현재의 2계층 통화체계를 디지털 시대로 확장하는 모델로 wCBDC를 앵커로 하고 토큰화 예금을 민간 화폐로 구성하는 새로운 통화체계를 구상한다.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제금융기관은 자산의 토큰화에 대응하여 CBDC기반 새로운 자산 결제 플랫폼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와 실험, 국제 협력을 추진 중에 있다.본 보고서는 디지털 시대 자산의 토큰화가 이끄는 변화, 토큰화의 의미와 효과 그리고 디지털 자산 거래 결제 플랫폼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현재 진행중인 디지털 자산 생태계 형성에 대응한 주요 중앙은행과 국제금융기관의 CBDC 결제 플랫폼 설계와 실험, 국제협력 방안을 조사하고 미래 금융인프라 변화와,시사점 및 과제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