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erspectives

[동향] 인공지능 노동력과 숙련(Skill) 정의 및 측정

  • 저자이현경
  • 다운로드수666
  • 미리보기수389
  • 게재지KISDI Perspectives
  • 권호2025 February No.1
  • 페이지1-15
  • 발행일2025-02-05
  • 분류정보미래사회문화,정보화,인터넷,IT산업 시장,인력·수요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인공지능 숙련 인공지능 노동력 국내 AI 인재 양성

요약

● (인공지능 노동력 및 숙련(Skill) 측정의 필요성) 인공지능 관련 기술 발전이 가속화 됨에 따라 인공지능 산업계에 종사 노동력 및 노동 수요를 시의적절하게 측정하는 데 공식적인 통계조사를 활용하는 것에 시차가 존재
- 이에 국외 최신 인공지능 노동력 및 스킬 관련 연구들은 온라인 구직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바 국내 인공지능 노동력 및 스킬을 측정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
● (텍스트 분석에 이용가능한 국내와 해외 데이터의 차이와 한계) 해외 연구는 Lightcast(구 Burning Glass), LinkedIn(링크드인) 등 글로벌 플랫폼 데이터를 주로 활용. 그러나 한국의 주요 구인구직 플랫폼에는 인공지능 관련 온라인 구직광고 데이터(OJPs)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 대기업이 공채 시스템을 선호하며 자사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스타트업의 경우에도 자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례가 많음
- 이에 따라 국내 인공지능 관련 노동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려면 국내 구인구직 플랫폼 데이터와 기업별 웹사이트 데이터를 종합해 분석할 필요
● (향후 제언) 국내 인공지능 노동력과 숙련 수요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분석과 같은 최신 기법을 도입하되, 데이터 선택에 따른 한계를 인지해야 함
- 특히, ‘사람인’과 ‘잡코리아’와 같은 플랫폼도 인공지능 관련 공고 비율이 높지 않아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 출처의 다각화가 필요
- 국가 차원의 기업 전수 조사나 공신력 있는 통계 조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보완하고, 이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산업의 정확한 수요를 파악하고, 정책적 대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

목차

1. 개요
2. 인공지능 노동력과 스킬: 개념 및 주요 연구
3. 국내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온라인 구직공고(OJPs) 활용 가능성
4. 소결 및 향후 정책방향에 제언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