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remium Report

OTT 서비스·콘텐츠 이용행태 및 트렌드 분석

  • 저자김남두
  • 다운로드수1659
  • 미리보기수5776
  • 게재지KISDI Premium Report
  • 권호2023-04
  • 페이지1-36
  • 발행일2023-08-01
  • 분류정보방송서비스산업·시장,방송콘텐츠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OTT 서비스 콘텐츠 이용형태 및 트렌드 분석

요약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019년부터 매년 1회 OTT 동영상 시청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콘텐츠 이용행태를 조사해왔다. 본 보고서는 ’22년 10월~11월 실시된 이용행태 조사 결과의 일부를 요약하되 일부 조사항목에 대해서는 시계열 자료(’19년~’22년) 분석을 추가하여, 국내 OTT 서비스 이용 현황 및 관련 트렌드를 소개한다.
“OTT 동영상 시청 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기”에 관한 ’19년~’22년 조사결과의 추이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응답비율은 감소한 대신 ‘TV수상기’ 응답비율 및 ‘태블릿PC/스마트패드’ 응답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고연령층에서 ‘TV 수상기’ 사용비중이, 저연령층에서 ‘태블릿PC/스마트패드’ 사용비중이 비교적 높은 현상도 관찰되었다.
“가장 자주 시청하는 OTT 전문콘텐츠 장르”의 응답 분포를 살펴보면(’22년 조사결과), ‘국내 드라마(롱폼/숏폼 통합),’ ‘뉴스/시사,’ ‘국내 예능(롱폼/숏폼 통합)’이 응답점유율 1~3위를 차지하였다. 남성은 국내외 뉴스/시사, 국내외 영화, 스포츠경기, 게임/e-스포츠를 답한 비율이, 여성은 국내 드라마, 국내 예능, 뮤직비디오/공연을 답한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또한, 저연령층은 게임/e-스포츠와 애니메이션을 답한 비율이, 고연령층은 뉴스/시사를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4개 유력 OTT 서비스 간에 최근 1주 기준 이용률을 비교하면(’22년 조사결과), ‘유튜브 > 넷플릭스 > 티빙 > 웨이브’의 순이었다. ’19년~’22년 동안 OTT 서비스별 이용률(최근 1주 기준)의 추이를 살펴보면, 유튜브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22년 이용률 수치는 전년에 비해 하락하였다. 넷플릭스는 ’19~’21년 동안 이용률이 급증하였으며, ’22년에는 전년도(’21년) 수준을 유지하였다. 국내 토종 OTT 서비스중에서는 티빙이 완만하지만 꾸준한 이용률 증가를 보였고, 쿠팡플레이도 최근 이용률이 급증하였다. “가장 자주 이용하는 OTT 서비스” 조사결과의 ’19년~’22년 추이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1개 SVOD 서비스만 가입할 수 있다고 가정할 시 1순위 선택 서비스의 응답 분포를 살펴보면, 넷플릭스가 1위(43.8%), 유튜브 프리미엄이 2위, 티빙이 3위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유튜브 프리미엄, 웨이브 및 티빙 이용가능자의 경우, 각각 해당 서비스보다 넷플릭스를 1순위로 선택한 응답비율이 더 높았는데, 이는 복수의 SVOD 서비스 이용자 중 상당수가 넷플릭스를 1순위 서비스로, 반면 유튜브 프리미엄, 웨이브, 또는 티빙을 2순위 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개 유력 OTT 서비스에 대해 각각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서 시청한 전문제작사 콘텐츠 내 ‘해외작 대 국내작’ 상대비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점수화하여 서비스 간에 비교한 결과, 국내작이 해외작보다 많았다는 인식의 강도는 ‘티빙 > 웨이브 > 유튜브 > 넷플릭스’ 순이었다.
넷플릭스의 경우에도, 2019년~22년 동안 ‘해외작 대 국내작’ 시청비중 인식 평균 점수는 매해 ‘국내작이 더 많았다’는 인식이 좀 더 강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넷플릭스에 대한 ’19년~’22년 콘텐츠 만족도 평균 점수 추이를 살펴보면, ’21년에 평균 점수가 급증하였다가(<오징어 게임> 등 출시) ’22년에는 다시 ’20년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22년 조사의 경우, 4개 유력 서비스 간 이용 만족도 평균 점수를 비교하면, ‘유튜브 > 넷플릭스 > 티빙 > 웨이브’의 순이었으며,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간 격차가 종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OTT 서비스·콘텐츠 이용행태의 최근 추이는 SVOD 서비스 이용의 보편화 및 유력 SVOD 서비스 간 경쟁 심화를 반영한다. 토종 SVOD 서비스(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의 이용자층이 점증하고 있으나, 넷플릭스를 1순위 SVOD 서비스로 이용하는 현상 또한 유지되고 있어 국내 사업자들의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목차

1. 서론
2. 조사방법
3. OTT 동영상 시청행태
4. 방송사 프로그램 시청행태
5. OTT 서비스 이용행태
6. SVOD 서비스 이용·선호행태
7. 유튜브·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관련 추가사항
8. 조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