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지난 2024년 6월 공표된 「2023 디지털산업 실태조사」는 디지털산업의 범위 설정 등을 위해 OECD가 정립한 디지털 경제 정의(2020a)와 이에 따른 산업 분류 및 디지털 공급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2020b)을 참고함● 이후 2023년 11월, OECD는 2020년에 발표한 디지털 공급사용표에 관한 가이드라인(디지털 경제 측정 프레임워크)을 조금 더 세분화하고 업데이트하여 새롭게 발표함
● 이에 본고에서는 새롭게 발표된 OECD(2023)의 디지털 경제 측정 동향 및 분류 체계를 거래의 방식, 제품 및 서비스, 산업 등 3개의 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 거래의 방식은 주문 및 배송의 측면에서, 제품 및 서비스는 ICT제품 및 디지털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디지털 중개 서비스 카테고리 하에서 각각 분류·정의됨
- 산업은 생산자가 디지털화를 통해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총 7개 세부 산업으로 분류·정의됨
● 아울러 본고는 세부 산업 분류 체계에 있어 OECD(2023)와 「2023 디지털산업 실태조사」간의 유사점, 차이점 등도 함께 확인하고자 함
- 올해 수행되는 「2024 디지털산업 실태조사」에서는 설문 항목 정제 및 신설에 있어 최대한 OECD(2023)의 가이드라인을 많이 참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디지털산업 현황 파악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함
목차
1. 개 요2. OECD의 디지털 경제 측정 프레임워크 구성 및 소개
3. OECD 산업 분류 vs.『2023 디지털산업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