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목차
제1장 서론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추진전략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제2절 연구 차별성과 추진 체계
1.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 추진 체계
[1부] 국가사회발전 7대지수
제2장 국가사회발전지수 개발을 위한 이론체계 연구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방법
제2절 이론적 논의
제3절 국가사회발전 지표체계 구축을 위한 기사분석: 2000~2021
제4절 국가사회발전 지표체계 구축을 위한 국민의식조사
제5절 국가사회발전 지표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가조사
제6절 결론 및 시사점
제3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사회통합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사회통합지수 개발 배경
2. 연구 목적 및 내용
제2절 사회통합 개념 정의 및 지표 개발
1. 사회통합의 개념
2. 사회통합 지표 체계
가. 사회통합의 하위 영역 구성
나. 하위 영역별 구성 지표
제3절 사회통합지수를 통해 본 한국
1. 사회통합 지표의 지수화 방법
가. 사회통합 지표의 측정
나. 지수화 방법 적용
2. 한국의 사회통합
가.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수준
나. 사회통합 하위 영역별 지수
다. 우리나라 사회통합 지수의 상대 변화
3. 국가별 사회통합지수
제4절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 요약
2. 시사점
제4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삶의 질 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선행연구 및 이슈 검토
1. 삶의 질 정의와 지수 개발에의 적용
2. 주요 삶의 질 지수 검토와 삶의 질 지수에의 함의
3. 생태이론의 발전과 삶의 질 지수에의 적용
4. 삶의 질 측정 이슈
5. 삶의 질 지수에 대한 이 연구의 차별적 접근
제3절 한국인의 삶의 질 지수체계 개발
1. 삶의 질 지수체계 개발 프로세스
2. 삶의 질 구성 영역 결정
3. 삶의 질 영역별 측정지표 결정
4. 한국인의 삶의 질 지수체계 구축
제4절 한국인의 삶의 질 지수 산출과 활용
1. 삶의 질 지수 산출
2. 지수로 보는 삶의 질 국제 비교
가. 삶의 질 지수 순위
나. 삶의 질 지수
다. 한국인의 영역별 삶의 질 지수 추이
3. 지표로 보는 삶의 질 국제 비교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 결과의 요약과 소결
2.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가. 삶의 질 국제비교를 위한 삶의 질 지수체계 개선 방안
나. 한국인의 집단별 삶의 질 지수체계 개발 및 활용 방안
다. 시계열 삶의 질 DB 구축과 정책평가 체계 구축
라.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여 삶의 질 지수체계의 시의성 확보
제5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환경 지속가능발전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환경 지속가능발전지수 정의
제3절 방법론
1. 지표체계
2. 지수화
제4절 분석 결과
1. 환경 지속가능발전지수 산정 결과
2. 주제별 산정 결과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경제활력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경제활력 지표체계의 구성
1. 경제활력에 대한 개념 및 방향
2. 경제활력 지표체계
3. 영역별 지표와 데이터
제3절 경제활력 국제비교
1. 성장
가. GDP 성장률
나. 총요소생산성
다. 가계소비지출
라. 기업투자
마. 무역
2. 기업
가. 창업률
나. 모험자본
다. 기업가정신
라. 산업조직
3. 혁신
가. R&D
나. 연구인력
다. 특허
라. 산학연협력
마. 두뇌유출
4. 구조
가. 소득분배
나. 고용
다. 산업구조
라. 사회안전망
마. 인구구조
바. 여성경제활동
5. 정책 및 제도
가. 정부신뢰
나. 공정성?투명성
다. 규제수준
제4절 경제활력지수
1. 지표의 처리와 지수 산출 방법
2. 경제활력지수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우리나라 경제활력의 특징과 취약점
2. 정책적 시사점
제7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국민역량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국민역량 지수 정의와 산출방법
1. 국민역량지수의 정의
가. 스톡(stock)과 플로우(flow)
나. 인적역량(stock)
다. 인적역량활용(flow)
2. 지수 구성 요소
가. 인지적 역량
나. 사회정서역량
다. 인적역량활용
3. 지수 산출 방법
제3절 한국의 국민역량지수
제4절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제8장 국가사회 발전 측정을 위한 국제공헌지수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국제공헌의 이해
제3절 국제공헌지수 구축
1. 지수 방법론 검토
2. 세부 지수 및 지표 구성
가. 글로벌가치지수
나. 국제기여지수
다. 국제협력지수
제4절 국제공헌 평가와 비교분석
1. 국제공헌 평가
2. 비교분석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 국제공헌을 제고하기 위한 중장기적 방향 설정
2.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국제공헌 평가
3. 세부 지수별 정책 과제
가. 글로벌가치지수: 범분야 관련 지원 확대 및 민간의 참여 독려
나. 국제기여지수: 국제개발협력 활동의 예산 확대?질적 품질 제고
다. 국제협력지수: 지원 인프라 및 관련 정책에서의 다양성 확보
제9장 국가?사회 발전 지수의 종합 비교 분석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가. 한국의 국가?사회발전 경로와 역사적 성취
나. 한국의 국가?사회발전 전략의 특성과 변화
2. 연구의 목적
제2절 국가?사회 발전 7대 지수를 활용한 국가유형 분류
1. 국가?사회 발전 7대 지수 활용 국가유형 분류 수행 방법
2. 국가?사회 발전 7대 지수 하위 지수 및 지표 구성 체계 검토
3. 데이터 전처리(data handling) 및 정규화(normalization)
가. 7대 지수 데이터 통합을 위한 전처리 절차
나. 7대 지수 통합 데이터 정규화
4. 혁신-포용 전략적 나침반(strategic compass)을 통한 벤치마크 도출
가. 국가?사회 발전 핵심요인 도출: 혁신과 포용
나. OECD 국가의 혁신-포용 포지션 매핑
제3절 결론 및 시사점
1. 한국의 국가?사회발전 경험에 따른 현재의 도전들
가. 기업과 국가의 혁신역량 제고
나. 개인 역량의 지속가능성 제고
다. 통합과 포용의 사회적 기반 구축
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마. 지구환경 및 국제사회 책임성 제고
2. 혁신적 포용국가 미래비전 2045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가. 기업과 국가의 혁신역량 제고
나. 개인 역량의 지속가능성 제고
다. 통합과 포용의 사회적 기반 구축
라. 국민 삶의 질 향상
마. 지구환경 및 국제사회 책임성 제고
[2부] ICT?보건복지 정책 지원을 위한 미래예측 모델 개발
제10장 비정형 데이터를 결합한 ICT산업 전망 계량모형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기존 연구 개관
3. 연구 목적
제2절 온라인 뉴스 지수화 작업
1. 온라인 뉴스 수집(크롤링, crawling)
2. 온라인 뉴스 전처리
가. 한글 전처리
나. 영어 전처리
3. 최적의 단어 임베딩 및 분류모형 탐색
가. BERT
나. 결과 요약
4. 온라인 뉴스 지수화
가. 계통 추출
나. Bert를 활용한 지수 계산
제3절 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ICT 전망 모형
1. MIDAS 모형
2. 분석 방법
3. 예측 모형의 설정
4. 예측 결과
제4절 비정형 데이터와 결합 예측 결과
1. 비정형 데이터의 결합
2. 현재 예측 결과
3. 정형 vs 비정형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제11장 보건복지 정책지원을 위한 미래예측 모델 개발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반 이슈탐지 방법론
1. 이슈 탐지 관련 선행 연구
2. 딥러닝 기반 텍스트 분석 방법
3. 딥러닝 기반 문서요약 방법
제3절 보건복지 온톨로지 개발을 위한 가짜 뉴스(fake news) 탐지 연구
1. 가짜뉴스 개념 정의
2. 가짜뉴스 방법론 소개
제4절 보건복지 이슈 조기탐지 시스템 개발
1. 데이터 탐색
2. 그래프 임베딩 모형을 적용한 이슈 조기탐지
3.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이슈 조기탐지
4. 빅데이터 플랫폼 연계 방안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제12장 결론
제1절 미래예측모형개발과 빅데이터 공유 플랫폼 연계
제2절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1. 연구결과
2. 연구결과 확산
3.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