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erspectives

[동향] 최빈개도국(LDCs) 디지털 연결성 동향

  • 저자김나연
  • 다운로드수222
  • 미리보기수229
  • 게재지KISDI Perspectives
  • 권호2023 May No.1
  • 페이지1-8
  • 발행일2023-05-25
  • 분류정보국제협력,개도국 정책자문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최빈개도국 LDC 디지털 연결성 디지털 격차 ITU

요약

●´22년 기준 46개의 최빈개도국(LDC)에서 전 세계 인구의 14%(약 10억명)이 거주중이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전 세계 오프라인 인구의 약 1/4이 LDCs 에 집중 되어 있음
● ITU(2022)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LDCs 디지털 연결성은 많은 부분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나, 여전히 전 세계와의 격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연결에 접근은 가능하나, 이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는 '활용 격차(Usage gap)'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지역별, 소득별 등에 따른 LDCs 국가간 차이 뿐만 아니라, LDCs 국가 내 성별 간, 도-농간 디지털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남
● LDCs 디지털 연결성 증진 제약 요소로 △인프라 부족, △높은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 요금, △전기통신 전통 영역에서의 정체, △ 디지털 활용능력의 절대적 부족, △저조한 민간 사업자의 투자 등이 꼽히고 있음
● LDCs에서 단순한 ICT 인프라 확장만이 아닌, 안전하고, 만족스러우며, 생산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온라인 세계를 즐길 수 있도록 보편적이고 의미 있는 연결성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이 강조되고 있음
● ´23년 3월, 도하에서 개최된 제 5차 UN 최빈국회의(LDC5)에서는 향후 10년간(2022-2031) 국제사회의 LDCs 지원에서 핵심 의제가 될 6대 우선분야와 핵심 행동영역을 담은 도하 행동 프로그램(DPoA)의 이행 로드맵을 수립
- 6대 우선분야 중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다차원적 취약성 극복 및 SDGs 달성’이 포함되며, 이에 디지털 전환, 광대역 연결성 개선 등이 핵심 행동영역으로 간주되고 있음
● 우리나라도 포용적인 동반 성장을 강조하고 있는 국제사회 논의에 맞추어 특히 LDCs에 중점을 둔 ICT 분야 ODA 지원 전략 수립 및 관련 협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목차

01. 개요
02. LDCs 연결성 동향
03. LDCs 연결성 증진에서의 장벽
04. LDCs 연결성 증진을 위한 ITU의 노력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